피지컬AI 분야 전문인력 양성·기술 교류 활성화 업무협약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한국폴리텍대학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카이스트)이 20일 피지컬AI 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 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대한민국의 제조역량을 살린 '피지컬 AI'로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자는 취지로 체결됐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기반으로 폴리텍대가 지닌 현장형 직업교육과 KAIST의 연구개발(R&D) 강점을 융합해 산업 현장으로의 기술 확산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특히 정부의 '모두의 AI'와 'X-AI 융합 인재 양성' 정책 기조에 부합해 국가 경쟁력 제고와 차세대 기술 인재 배출에도 힘쓴다. X-AI는 인공지능(AI)을 다양한 산업·전공(X)에 융합해 응용하는 형태를 말한다.
![]() |
| 한국폴리텍대학 이철수 이사장(오른쪽)과 한국과학기술원 이광형 총장(왼쪽)이 20일 '피지컬AI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한국폴리텍대학] 2025.11.20 jsh@newspim.com |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인적 교류 및 공동 연구 지원·협력 ▲피지컬AI분야 우수인재 육성 교육 ▲인력·시설·장비를 활용한 제조 피지컬 AI 기반 창업 플랫폼 구축 ▲제조 피지컬 AI분야 공동 정책연구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폴리텍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AI·로봇·센서 융합 분야의 실무 중심 교육체계를 한층 고도화하고, 학생들이 피지컬AI 관련 산업 현장에 참여할 수 있는 교육 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번 협약의 일환으로 양 기관은 같은 날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개최되는 '2025 피지컬AI 글로벌 포럼'의 연계세션인 '인재 양성 전략'을 주관한다.
첫 번째 주제 발표로 KAIST의 장영재 교수가 'AI전환기, 융합인재 확보 방안'에 대해 소개하고, 이어 폴리텍대의 이혜정 교수가 'X-AI와 기술인재 양성 전략'을 발표한다. 주제 발표 후에는 '피지컬AI 패러다임에서 폴리텍대학의 도전과 기회'에 대해 현장 토론이 진행된다.
이철수 폴리텍대 이사장은 "최근 한국에 온 젠슨 황이 이재용, 정의선 회장을 찾아 깜짝 회동을 한 것처럼, 이번 협약은 현장형 피지컬AI 전문가 양성과 산업 현장 확산을 위해 KAIST가 한국폴리텍대학의 손을 잡은 것"이라며 "KAIST의 지식에 한국폴리텍대학의 현장기술을 완벽하게 결합해 피지컬AI 생태계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광형 KAIST 총장은 "AI는 이제 가상의 영역을 넘어 현실의 물리적 세계와 결합하며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며 "KAIST는 이번 협력을 통해 연구 중심의 첨단 기술을 실제 산업 현장으로 확산시키고, 한국폴리텍대학과 함께 피지컬AI 시대를 선도할 융합형 인재 양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js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