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찬우 기자 =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9월 미국 조지아주에서 벌어진 한국인 근로자 대규모 체포·구금 사태와 관련해 백악관으로부터 직접 사과 전화를 받았다고 밝혔다.
![]() |
|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 [사진=현대차그룹] |
19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면 무뇨스 사장은 싱가포르에서 열린 '블룸버그 뉴 이코노미 포럼' 패널 토론에서 조지아주 사태를 언급하며 "백악관에서 사과 전화가 왔다"고 말했다.
그는 "조지아주 주지사도 전화를 걸어 '무슨 일이 어떻게 벌어진 건지 모르겠다. 이건 주정부가 관할할 사안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전해왔다"고 덧붙였다.
앞서 9월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은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을 전격 단속해, B-1 비자나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로 입국한 한국인 노동자 317명을 불법 체류자로 보고 체포·구금했다.
당시 ICE가 촬영한 영상에는 한국인 근로자들이 수갑과 사슬에 묶여 이송되는 장면이 담겨 한국 내 여론이 크게 악화됐다. 이들은 한·미 정부 간 협의 끝에 약 일주일 만에 전원 귀국했다.
무뇨스 사장은 토론에서 "누군가가 (정부에) 전화를 걸어 마치 공장에 불법 이민자들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 것 같다"며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조지아주 사태를 "뜻밖의 좋지 않은 사건"으로 규정하면서도, "그럼에도 미국 내 생산 확대를 향한 현대차의 의지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 이후 한·미 양국 정부는 재발 방지를 위해 단기비자·무비자 인력 운용 기준을 점검하고 비자 제도 개선을 논의하는 워킹그룹을 가동 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역시 최근 조지아주 사태를 거론하며 "미국이 필요로 하는 해외 기술 인력은 데려와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양국이 외국인 전문 인력 수용과 투자 환경 안정을 둘러싼 제도 보완에 나선 모습이다.
chanw@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