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부산이전 발표 직후엔 '기피 부처'
"해운대 특공 검토하겠다" 이후 '인기 부처'
지방균형발전 명분…공무원 삶 희생 그만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본격화하면서 세종청사 분위기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해수부는 다음 달 8일부터 사무실 이사를 시작합니다. 연말에는 부산 임시청사 개청식을 열겠다고 공식화했습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의 "부산 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이 현실화하는 것입니다.
해수부 임시청사는 부산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빌딩(별관) 두 곳으로 정해졌습니다. 해수부 직원은 계약직·공무직 포함 800여명으로, 대규모 인원이 한 번에 움직이는 셈입니다. 다만 맞벌이와 자녀 교육 문제로 먼저 혼자 내려가는 직원도 있습니다.
![]() |
사실 해수부 부산 이전은 순탄하지 않았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해수부 부산 이전 발표 직후 노조에서 돌린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631명)의 86.1%가 반대 의견을 냈습니다. '부산 이전 필요성에 공감하기 어렵다', 절차가 졸속으로 진행됐다'는 의견이 쏟아졌습니다.
실제로 발표 직후 타 부처로 전출을 희망하는 직원들은 폭발적으로 급증했습니다. 해수부 한 관계자는 당시 분위기를 두고 "윗선에서 타 부처 전출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며 "내부 분위기가 뒤숭숭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해수부는 잦은 조직 개편으로 몸살을 앓았던 전적이 많습니다. 지난 1955년 해무청이 출범한 이후 무려 아홉 번이나 이삿짐을 싸야 했습니다. 2012년이 돼서야 정부세종청사에 둥지를 틀었지만, 13년 만에 다시 자리를 옮기게 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수부가 도리어 인기 부처로 떠올랐습니다. 부산으로 이전하는 해수부 직원에게 관사를 제공하고 이사비를 지급하는 등 구체적인 지원방안이 나오고 나서부터입니다. 특히 부산시가 특별공급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게 큰 힘이 됐습니다.
다만 해수부는 특공과 관련해 아직 부산시와의 협의가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입니다. 해수부 관계자는 "부산시와 특공 부지 협의가 결정되지 않았다"며 "실제 어디로 할 지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
| [일러스트=ChatGPT] |
더 흥미로운 건 타 부처 반응입니다. 경제부처 과장급 관계자는 "예전에는 해수부에서 넘어오고 싶어 하는 인원이 많았다면, 최근에는 해수부로 가고 싶어 하는 인원이 더 많다"고 전했습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공무원 인사교류 홈페이지만 봐도 해수부로 가고 싶다는 글이 상당히 많이 올라왔다"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관가에 남은 불신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경제부처 국장급 관계자는 "해운대구 특공이 중요한 게 아니다. 부처의 이전이라는 중대한 사안을 결정할 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더 이상 지방균형발전이라는 명분으로 공무원의 삶을 희생하는 구조는 없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해수부는 앞으로 2030년까지 부산에 새 청사를 지어야 합니다. 5년 동안 임시청사 체제에 돌입하는 만큼 직원들의 거주·근무 여건을 어떻게 설계할지가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plu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