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하게 악화된 중일 관계 국면에 A주 구조적 변화
투심 냉각 속 반사이익 기대 '6대 투자방향은' 상승세
중일 갈등 격화 속 수혜주로 떠오른 6대 키워드 진단
이 기사는 11월 18일 오후 4시3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中日 충돌] 급속 냉각기류 속 반사이익 기대① '6대 A주 투자방향'>에서 이어짐.
2. 위험회피 심리 확대 : 군수∙방산, 금
대외적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긴장감 확대 속 대표 수혜 영역으로 꼽히는 군수∙방산 섹터가 상승모멘텀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일 갈등 이슈 외에 11월 17일부터 사흘간 황해(黃海) 일부 지역에서 치러지는 군사훈련 또한 군수∙방산주에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섹터 전반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크게 높아지면서 단기적으로 항공우주, 조선, 사이버 보안 등 세부 분야의 선도 기업들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확대될 수 있다. 이들 기업은 단기 투기성 자본보다는 안정적인 장기 자본을 기반으로 하고, 국방 현대화와 자주적 기술을 보유한 영역의 경우 진입 장벽이 높은 경우가 많아 중장기적 관점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국방 예산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복잡한 국제 환경 속에서 국방력 강화와 기술 자립이 절실한 과제로 부상했다. 핵심 군사 기술을 보유하거나 특수 장비 분야에서 경쟁력을 지닌 기업들이 정책적·수요적 수혜를 동시에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블루포스(아군의 위치∙이동∙상황을 디지털로 실시간 추적·관리하는 시스템), 해양 정보장비, 차세대 통신 및 모니터링 시스템, 사이버 보안, 드론, 탄약, 군용차량 등 세부 분야 기술력 보유 기업들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
특히, 최근 A주 시장에서 상승세를 타고 있는 푸젠(福建)성을 근간으로 하는 '푸젠 군수 테마주'는 추가적인 플러스 요인이 될 전망이다. 실제로 핵심 군수 테마주의 대다수는 푸젠 테마주에도 해당한다.
푸젠성은 산지가 많고 구릉이 발달돼 있어 군수산업이 자리잡는데 지리적 이점을 갖고 있고, 역사적으로 당국의 정책 하에서 다수의 국영 군수기업이 자리를 잡아왔다.
최근 A주 시장에서 푸젠 테마주는 △지리적으로 대만과 인접해 있는 푸젠성을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통일의 거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당국의 정책 지속 △2024년 푸젠성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대비 5.5% 상승해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등 지역 경제의 탄탄한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대한 신뢰도 향상에 힘입어 최근 관련 종목이 상한가 랠리를 펼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정학적 불안감으로 확대된 위험회피 심리는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으로의 단기 투자금 유입을 촉진하는 만큼, 금 광물 채굴 및 가공 관련 상장사들의 수익성이 단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어 주목된다.
![]()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1.18 pxx17@newspim.com |
3. 후쿠시마 원전 당시 조치 재연 : 수산업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사태 당시, 중국은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검사 강화 및 일본산 수산물 수입 전면 중단을 단행한 바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수산물 소비국으로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제한할 경우 일본 수산물 업계에 큰 타격을 주는 반면, 국내 수산물 업계에는 전례없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최근 일본과의 갈등 국면은 국산화로의 대체와 내수 확장에 따른 수혜의 기회를 다시금 불러오며 국내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커질 전망이다. 여기에 최근 국무회의에서 공개된 소비 촉진에 관한 정책 또한 수산물 업계 전반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비자들의 '국산 수산물'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며 해당 기업들의 매출과 실적이 단기간 폭발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1.18 pxx17@newspim.com |
4. 중국의 절대적 경쟁력 : 희토류 전략자원
중국은 반도체와 첨단 제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광물 영역에서 절대 우위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만약 중일 양국 간의 기술이나 무역 마찰이 확대될 경우, 중국은 '반일 압박 카드'로 전략자원 수출 통제를 꺼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략자원의 가격 상승이 예상되며 관련 채굴 및 가공 기업들의 수익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희토류 섹터를 대표하는 5대 종목인 북방희토(600111.SH), 중국희토(000831.SZ), 하문텅스텐(600549.SH), 성화자원(600392.SH), 광성비철금속(600259.SH) 등을 비롯한 섹터 대표종목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5. 일본 키워드 투자심리 영향 : '일(日)'자 기업명 종목
정책적 요인 외에, 투자 심리에 따라 특정 기업명이 주목 받는 경우도 있다. 종목명에 일본을 연상시키는 일(日)자가 들어간 종목, 반일 메세지를 드러내는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 종목들이 그것이다.
예를 들어, 가정용 섬유제품 생산업체로 방산주로도 분류되는 선빔주식(孚日股份·SUNVIM 002083.SZ), 천연가스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하는 국영기업 승리주식(勝利股份·VICOME 000407.SZ), 밀크티 판매업체 샹퍄오퍄오(香飄飄 603711.SH) 등은 제품 포장이나 브랜드 마케팅을 통해 일본을 풍자하는 등의 반일 메세지를 전달하며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6. 애국소비 확대 : '궈차오(國潮)' 테마주
중국적 요소가 농후한 국산 브랜드가 주를 이루는 '궈차오(國潮 애국소비)' 테마 또한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패션과 스포츠 브랜드 등 생활소비 분야의 궈차오 브랜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선호가 높아지며 새로운 소비 트렌드 중 하나로 떠올랐다.
이러한 궈차오 브랜드들은 중국과 다른 국가가 정치∙외교적으로 마찰을 빚을 때마다 시장의 관심도가 높아지며 관련 종목의 상승모멘텀 또한 상승하는 양상을 연출해왔다.
애국주의를 강조하는 국산 영화와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경쟁력 있는 미디어 종목, 그리고 일본이 높은 경쟁력과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산업 분야 중 하나인 게임 등도 일정 부분 수혜가 예상된다.
결국 이번 중일 갈등은 외교 문제를 넘어, 금융시장과 소비 트렌드까지 흔드는 '복합적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pxx1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