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수요 확대 속 전해액 핵심원료 가격 폭등
LiPF₆, VC, SOCl₂등 가격 줄줄이 급등세 연출
배터리 제조사 수급긴장, 가격 상승세 지속 전망
생산력과 기술력 등 연계성 기준 찐 테마주 선별
이 기사는 11월 17일 오후 4시2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전해액 핵심원료 가격 폭등①② A주 '찐 테마주' 선점 전략>에서 이어짐.
◆ 핵심원료 기업 4Q 실적호조 전망 속 '투자 전략'
국내외 시장의 에너지저장 수요가 크게 늘고, 내년 신에너지차 구매세 보조금의 단계적 축소로 인해 연말까지는 '밀어내기식' 판매 확대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흐름 속 리튬 배터리 수요는 전반적으로 견조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배터리 기업들은 전면적으로 가동 상태를 이어가고 있지만, 배터리 제조사들의 생산능력은 상대적으로 빠듯한 상황이다.
수급 긴장감의 확대로 양극재, 전해액, 분리막 등 여러 부문에서 가격 인상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4분기 산업체인은 물량과 가격의 동반 상승으로 실적이 전분기 대비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고체 배터리 산업화가 지속 추진되는 가운데 반고체 배터리가 양산 단계에 들어서고 전고체 배터리의 테스트 라인이 집중적으로 구축되면서, 산업체인 내 소재 및 장비 부문에 새로운 업그레이드 수요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 측면에서는 산업체인 각 부문에서 선도적 입지를 구축한 기업 중심의 배치 전략이 필요하다는 현지 증권기관의 의견이 나온다.
대표적으로 동관증권(東莞證券)은 최신 보고서를 통해 △고체 배터리 핵심 공정 설비 분야에 선제적으로 진출한 리튬 배터리 장비 기업 △고체 전해질, 신형 양·음극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복합 집전체 등 소재 부문에서 기술력과 생산능력 우위를 확보한 기업들에 주목할 것을 권고했다.
![]()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1.17 pxx17@newspim.com |
◆ 전해액 핵심소재 관련 주목할 'A주 테마주'
지난주 중국 본토 A주 시장에서는 리튬염인 헥사플루오로인산리튬(LiPF₆), 첨가제인 비닐렌카보네이트(VC), 리튬염+첨가제 이중역할을 하는 리튬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FSI)의 핵심원료 염화티오닐(SOCl₂) 등 최근 두드러진 수요와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전해액 핵심소재를 중심으로 관련 테마주들이 랠리를 이어갔다.
11월 들어 주가가 눈에 띄는 상승세를 타고 있는 SOCl₂와 LiFSI 테마와 연계된 일부 대표 종목은 공식적으로 전해액 핵심소재 테마와의 연계성을 밝히며, 시장의 관심을 더욱 집중시켰다.
1. SOCl₂ 테마주
전세계 SOCl₂ 산업의 선두 기업인 개성신소재(凱盛新材∙KAISHENG 301069.SH)는 연간 15만 t에 달하는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의 26%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개성신소재 측은 SOCl₂ 제품이 이미 리튬이온전지 전해질 제조업체에 공급되고 있다고 밝히며 SOCl₂ 테마와의 연계성을 입증했고, 이로 인해 주가가 크게 올랐다.
금화실업(金禾實業∙JINHE 002597.SZ)은 현재 연간 8만 t의 SOCl₂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연간 생산능력 10만 t 규모의 SOCl₂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금화실업 측은 7월 25일 공시를 통해 연간 1만 t 규모의 차세대 리튬염 LiFSI의 핵심 전구체 생산설비가 최근 가동을 시작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세룡실업(世龍實業∙SELON 002748.SZ)의 연간 SOCl₂ 생산능력은 5만 t 수준으로 안정적이며, 회사는 일부 제품이 리튬배터리 등 신에너지 산업과 연계돼 있다고 밝혔다.
삼우화공(三友化工∙SANYOU 600409.SH) 올해 5월 연간 4만 t 규모의 SOCl₂를 생산하는 정밀화학 1기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올해 4분기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2. LiFSI 테마주
① 태화과기(泰和科技 300801.SZ)는 연간 생산량 2만 t 규모의 LiFSI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라고 전했다.
② 영태과기(永太科技 002326.SZ)는 연간 6만7000t 규모의 액상 LiFSI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③ 연화과기(聯化科技 002250.SZ)는 연간 생산능력 1만 t 규모의 LiFSI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④ 리민주식(利民股份 002734.SZ)은 총 2만 t 규모의 LiFSI 생산능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1기에 해당하는 연간 생산능력 2200t 규모의 공장은 2025년 내에 시험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⑤ 서태신소재(瑞泰新材 301238.SZ)는 LiFSI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