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화력발전소 4호기·6호기 발파 작업 완료
소방청, 72명 구조대원 투입해 24시간 체제 운영
드론 활용한 안전 관리로 신속·안전 구조 목표
[세종=뉴스핌] 나병주 인턴기자 = 붕괴사고가 발생했던 울산 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4호기와 6호기 발파 작업이 완료돼 본격적인 수색 및 구조작업이 재개됐다.
11일 소방청에 따르면 구조작업은 발파로 주변 위험성 안정화가 완료된 오후 3시 40분부터 본격 시작한다. 현장에는 구조대 9개와 72명의 구조대원이 투입되며, 울산소방본부장이 현장 지휘대를 맡아 24시간 체제로 운영된다.
![]() |
| 11일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현장에서 김승룡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소방청장 직무대행)이 보일러타워 4·6호기 안정화 작업 완료에 따라 본격적인 수색·구조 작업에 투입될 구조대원들을 대상으로 구조 및 안전사항에 대해 당부하고 있다. [사진=소방청] 2025.11.11 lahbj11@newspim.com |
먼저, 수색·구조 방식은 구조팀-신속대응팀-백업팀으로 이어지는 3단계 순환 투입 체계로 운영된다. 현장 상황은 드론과 백업팀이 병행 촬영해 구조활동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방청은 현장 투입 전 김승룡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소방청장 직무대행) 주관으로 모든 구조대원에게 구조계획 및 안전교육을 실시해, 안정성이 확보된 구역부터 단계적으로 투입 중이다.
또 방면안전요원, 항공드론팀 등 11명의 전문 안전관리 인력이 현장의 전체 구역을 실시간으로 점검한다. 위험 징후가 포착될 경우 전 대원에게 즉시 대피 신호를 전파하고, 무전 및 싸이렌·스피커를 통해 철수를 유도하기로 했다.
구조 공간의 안정성은 전문 해체업체와 안전보건공단 전문가가 공동으로 평가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조 작업이 추진된다.
김 단장은 "24시간 수색·구조체계를 가동해 조금이라도 빨리 구조대상자를 가족의 품으로 돌려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lahbj1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