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서 전망 내놔
"美 협의로 원잠 연료 확보, 2020년대 후반 건조"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정부가 2030년대 중·후반에 우리 기술로 된 원자력 추진 잠수함 선도함 진수가 가능하다는 전망을 4일 내놨다.
국방부 원종대 자원관리실장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48차 국무회의에서 "미국 측과 협의를 통해 원잠용 연료를 확보하고 (20)20년대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한다면 (20)30년대 중·후반에는 선도함 진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48차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 
원 실장은 "현재 원잠에 탑재될 원자로, 무장 체계 등 원잠 건조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 중"이라며 "안전성 검증을 진행 중이고, 재래식 잠수함에 있어선 세계적 수준의 설계·건조 능력을 이미 보유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에 더해 지금까지 확보한 핵심 기술과 국가역량을 결집하면 우리 기술로 원잠 건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아울러 원자력 추진 잠수함 건조를 위한 범정부 태스크포스(TF) 구성 추진 계획도 세웠다. 원 실장은 "원잠 건조는 외교적 협의와 기술 검증, 산업 기반 마련 등의 다양한 과제가 포함된 대규모 전략무기 사업"이라면서 "체계적 추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원 실장은 "먼저 원잠 연료 공급에 관한 구체적 협의를 추진하는 한미 외교·국방 당국 간 실무협의체 구성을 추진할 것"이라며 "정부 역량을 결집해 국가 전략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TF 구성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이날 한국의 원잠 도입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원잠 도입 관련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 드린다"며 "당연히 군 당국에선 최선을 다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답했다.
pcj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