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양천 정비사업, 2029년 완공 목표
기후위기 대응과 경제적 이익 강조
태양광 패널, 도민과 수익 공유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번째 방문지로 김포시 계양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현장을 찾았다.
![]()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번째 방문지로 김포시 계양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현장을 찾았다. [사진=경기도] | 
3일 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날 계양천 정비사업이 홍수 예방과 기후위기 대응, 수익 창출 등 이점을 동시에 갖춘 사업이라고 강조하며, 이를 확실히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계양천 정비사업은 14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되는데, 100억 원 정도의 국비를 받으며 나머지는 전액 도비로 조달되는 사업"이라며 "도민 안전을 고려해 2029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 정비사업을 통해 저류지 위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태양광 발전소로 전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경기도는 기후위기 대응과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도민들이 조합원으로 참여해 수익을 나눌 수 있도록 하는 방향임을 설명했다.
![]()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번째 방문지로 김포시 계양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현장을 찾았다. [사진=경기도] | 
계양천 정비사업은 김포시 고촌읍 태리부터 운양동 일원에 걸쳐 진행되는 수해 예방 사업으로, 총사업비 142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14만㎡ 규모의 계양저류지 조성과 0.8km 길이의 축제공(제방 쌓기), 배수문 및 교량 설치 등이 포함된다. 이 사업은 지난달 31일 착공했으며, 2029년 10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계양천 수위가 상승했을 때 저류지에서 유량을 잠시 저장해 두었다가 방류함으로써 홍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도는 이번 하천정비 사업에 '이익공유형 공공RE100(태양광발전)' 모델을 도입하기로 했다.
계양천 저류지에는 565개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고, 저류지 아래쪽에는 산책로와 풋살장이 조성돼 친환경 수변공원이 만들어질 예정이다. 이는 연간 약 15GWh의 발전량을 예상하고 있으며, 4인 가구 기준으로 4000세대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3번째 방문지로 김포시 계양천 수해상습지 개선사업 현장을 찾았다. [사진=경기도] | 
도는 이 사업에 5만 명 이상의 도민이 참여하는 이익공유형 협동조합 컨소시엄을 기획하고 있으며, 연간 약 34억 원의 수익을 도민과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탄소 감축과 기후위기 대응 효과도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