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이스라엘 예루살렘이 30일(현지시간) '하레디'로 불리는 초정통파 유대교도의 대규모 시위로 사실상 마비됐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병역 의무 확대에 반대하는 이번 시위에는 약 20만 명이 운집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위대는 검은색 정통 유대교 복장과 모자를 착용한 남성들로 대부분 구성됐다.
|  | 
| 3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정부의 군 징집에 반대하는 초정통파 유대교도들이 예루살렘 도로를 가득 메운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들은 예루살렘 도심 진입로를 점거하며 차량 통행을 막았고, 현지 언론은 "예루살렘 주요 도로가 완전히 마비됐다"고 전했다.
시위에 참여한 슈무엘 오르바흐 씨는 "지금은 군 복무를 거부한 사람을 군사 감옥에 보낸다. 감옥은 그리 나쁘지 않다"면서도 "우리는 유대 국가다. 유대교를 유대 국가에서 억압하려는 시도는 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스라엘에서는 전통적으로 초정통파 신학생들이 병역 의무에서 면제돼 왔다. 그러나 지난 2년 동안 가자지구를 비롯해 레바논·시리아·예멘·이란 등으로 전선이 확산되며 수십 년 만에 가장 많은 군 사상자가 발생하자, "특정 집단만 짐을 지지 않는다"는 여론이 급속히 확산됐다.
이스라엘 대법원은 지난해 6월 25일 초정통파의 병역 면제를 위헌으로 판단하며 제도 폐지를 명령했다.
'군 징집 반대' 문제는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연정을 뒤흔드는 최대 갈등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네타냐후 총리의 핵심 연정 파트너였던 초정통파 정당 샤스(Shas)와 토라유대주의연합(UTJ)이 새 징병안에 반발해 연정을 이탈했다.
이로써 네타냐후 내각은 극우 성향 의원들만 남은 불안정한 구조로 재편됐고, 미국 중재로 성사된 하마스와의 가자지구 휴전 합의에도 강경파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초정통파 정당들은 향후 협상 진전에 따라 연정 복귀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세속층과 젊은층의 반발이 커질 수 있어 이스라엘이 내년 10월 총선을 앞두고 또 다른 정치적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wonjc6@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