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최근 프로축구 K리그에서 잇따라 발생한 오심 논란과 관련해, "심판이 자신의 판정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적 체계를 구축하겠다"라고 밝혔다.
최 장관은 29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부 등 종합감사에 참석했다.
![]()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choipix16@newspim.com |
이날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은 질의에서 "올 시즌 K리그의 오심이 지난해 28건에서 올해 79건으로 급증했다"라며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제도적인 문제로 반복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전날 국정감사에서도 문진희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을 증인으로 불러 오심 통계를 제시하며 "문 위원장은 '판정은 주관적인 부분이 있다'라는 답변으로 책임을 회피했다. 이는 명백히 잘못된 인식"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김 의원은 지난 26일 울산문수축구장에서 열린 울산 HD와 대구FC의 K리그1 2025 34라운드 파이널B 경기 장면을 예로 들었다. 당시 대구가 1-0으로 앞선 후반 20분, 세징야의 슈팅이 울산 수비수 정승현의 팔에 맞았지만 주심이 비디오판독(VAR) 온필드리뷰를 거쳐 페널티킥을 취소했다. 결국 대구는 동점골을 허용하며 승리를 놓쳤다.
김 의원은 "해당 장면은 누가 봐도 명백한 핸드볼이었고, VAR을 거쳤음에도 오심이 나왔다"라며 "이 주심은 시즌 중 여러 차례 유사한 오심을 범했고, 특정 구단이 피해를 본 경우가 유난히 많았다. 심판 개인의 독단적 판단이 반복되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주심은 올해 수차례 오심을 저질렀고, 특정 구단이 당한 오심 중 25%가 집중돼 축구 팬들의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부분에서도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축구뿐만 아니라 많은 종목단체에서 오심이 반복되고 있는데 강력한 대책을 세워야 하지 않나"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최 장관은 "말씀하신 부분을 공감하고 있다"라며 "자신이 내린 판정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체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김 의원은 "축구뿐 아니라 오심이 빈번한 종목의 경우 단체 회장 연임 승인에 페널티를 주거나, 단체 지원금에 페널티를 주는 등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강조했다.
wcn0500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