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현지, 총무 비서관 3달 일해...관례에 없는 증인신청"
野 "오전 출석, 사실상 1시간 출석...주질의까지 참석해야"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여야가 오는 11월 6일 국회 운영위원회 대통령실 국정감사를 앞두고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을 포함한 증인과 참고인 명단을 논의했으나 이견 좁히기에 실패했다. 민주당은 김 실장을 오전 국정감사 동안 출석하자고 제안했으나 국민의힘은 주질의가 끝나는 오후 시간까지 출석시켜야 한다고 해 협상이 결렬됐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28일 오후 국회에서 만나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원내대표 회동을 갖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 유상범 원내수석부대표,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 2025.09.10 mironj19@newspim.com |
문 원내수석부대표는 "오늘 기관 증인들은 다 (합의)됐는데 일반 증인은 안 됐다"면서 "(김 실장과 관련해) 민주당은 오전 중으로 출석시킬 것을 제안했으나 국민의힘은 그렇게는 안 된다, 주질의가 끝나는 시간인 3~4시까지 출석을 시키라고 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저희는 오후 2시 이후부터 대통령 일정을 소화해야 하기 때문에 오전 중으로 출석한다고 했으나 저쪽에서 받아주지 않았고, 합의가 결렬됐다"고 했다.
문 원내수석부대표는 "김 실장은 총무비서관을 한 세달 정도 했는데, 그걸로 부르겠다는 건 관례에 없는 증인 신청"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국정감사는 내란 국감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대통령실 운영은 윤석열 정부에서 8개월 정도 했고 민주당이 4개월 정도 한 것 아닌가"라며 "국민의힘은 김 실장 한 명을 부르기 위해 인사비서관이라든지 전례가 없는 직원들을 다 부르겠다는 취지인 것 같다. 김 실장의 남편까지 부르겠다는 건 너무 심하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이번 국감을 정쟁 국감, 욕설 국감으로 끌고가려는 게 국민의힘의 전략이라고 본다. (국감을 하면) 윤석열·김건희 국정농단, 내란이 드러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국감 자체를 무력화시키는 전략"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운영위 전체회의가 열리기 직전인 오는 29일 오전까지 국민의힘의 답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국민의힘은 "인사청문회를 시작하면 오전에 각종 업무보고가 진행되는데 사실상 1시간 밖에 증인으로 출석하지 않는 것"이라며 "형식적으로 김 실장이 출석해야 한다는 명분 쌓기용"이라고 반박했다.
이날 민주당은 전직 대통령실 근무자인 정진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 김성훈 경호처장, 김태호 제1안보처장, 윤석열 전 대통령, 김건희 씨 등을 증인으로 요구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김 실장을 비롯해 전치영 대통령실 공직기강 비서관, 강유정 대변인, 김남준 대변인 등을 증인으로 요청했다. 또 김 실장을 겨냥해 김 실장의 남편과 특혜 의혹이 있던 김인호 산림청장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을 요구했다.
heyji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