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값, 국제 가격과 격차 커져
"하락조정 통해 평균으로 수렴 구조"
금감원, 금 투자 소비자 경보 발령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국내 금값이 국제 시세보다 더 비싼 '김치 프리미엄'이 발생하면서 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융상품 투자와 관련해 금융당국이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날 기준 국내 금현물 가격은 21만8000원(1g)으로 연초 대비 69.3% 상승한 반면 국제 가격은 19만3000원으로 53.4% 상승하며 국내금 가격이 국제 금 가격보다 13.2%(괴리율) 높은 상황이다. 금에 투자하는 상품의 기초자산은 국내 금가격과 국제 금가격으로 나뉜다
금감원은 "국내 금 가격은 제한적 수급 요인, 정보 불완전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국제 금 가격과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며 "하지만 일물일가의 법칙에 의해 국내 금 가격과 국제 금 가격은 결국 수렴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투자 주의를 당부했다.
금감원은 금투자 상품의 기초자산이 국내 금 가격을 추종하는지, 국제 금 가격을 추종하는지 확인하고, 국내 금 가격은 평균적으로 국제 금 가격에 수렴하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금괴 [사진=로이터 뉴스핌] |
최근 5년간 괴리율이 10%를 초과한 경우는 올해 2월과 현재 단 2차례에 불과하다. 지난 2월의 경우 약 30영업일간 국내 금가격이 국제 금가격을 상회하며 괴리율이 22.6%까지 확대된 이후, 18영업일 동안 하락조정을 통해 평균(0.7%)에 수렴한 바 있다.
금감원은 "최근 5년간 경험통계상 괴리율이 10%를 초과하는 경우는 1.0%에 불과한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이어 "현재도 9월부터 괴리율이 확대되며 10%를 상회하고 있다"며 "투자 의사결정시 국내 금 가격과 국제 금 가격 간 괴리율 등을 참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 가격은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정보데이터시스템-일반상품)에서 국내와 국제 가격을 모두 조회할 수 있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