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삼석 의원 "동물 공격 사고 지속.. 정부 안전대책 전무"
[영암·무안·신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최근 6년간 농작업 중 사망자가 1500명을 넘는 등 멧돼지 등 야생동물의 공격으로 농민이 숨지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지만 농촌 안전사고가 심각한 수준임에도 정부의 예방대책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영암·무안·신안)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농작업 중 사망자는 총 1527명으로 평균 이틀에 한 명꼴(연평균 254명)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영암·무안·신안). [사진=서삼석 의원실] 2025.10.17 ej7648@newspim.com |
연도별로는 ▲19년 244건 ▲20년 253건 ▲21년 228건 ▲22년 252건 ▲23년 253건 ▲24년 297건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24년 질병·질환 사망은 43건으로 19~24 평균 (21건)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농림축산식품부는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급증으로 분석했다.
같은기간 광역단체 별로는 경북이 28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경남 277건 ▲전남 234건 ▲충남 205건 ▲전북 175건 ▲충북 92건 ▲경기 86건 ▲강원 68건 ▲대구·울산 23건 ▲세종 9건 ▲부산 5건 ▲인천 4건 ▲대전 3건 ▲광주 2건 ▲서울 1건 순이다. 기초단체 별로 상위 3곳을 살펴보면 기초단체별로는 ▲경남 하동 (30건) ▲경북 김천 (28건) ▲경북 산청 (28건) 순으로 영남권 지역에서 피해가 집중됐다.
같은 기간 동물 공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총 45건으로 이 가운데 기초단체별로는 43곳에서 1건씩 나타났지만 경남 산청군은 21년 ~22년 2년 연속 사망사고가 1건씩 발생했다.
문제는 매년 동물 공격으로 사망자가 발생함에도 정부의 대책은 미흡하다는 점이다.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작업 중 동물 공격에 따른 안전대책은 '17년 '멧돼지 공격 트랩' 개발 용역 이후 추가적인 연구 R&D 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19년부터 24년까지 멧돼지 공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19년 5건 ▲20년 7건 ▲21년 13건 ▲22년 8건 ▲23년 6건 ▲24년 6건으로 평균 7.5건씩 멧돼지 공격 사망이 지속 발생하고 있어 기존 대책의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 의원은 "농작업 중 사망사고와 질병 피해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농작업 안전예방 권한을 위임받은 농촌진흥청은 그 실효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매년 반복되는 야생동물 공격에 대해 정부 차원의 상시 대응체계와 실질적 안전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