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회 산중위 중기부 국정감사 출석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14일 "소상공인과 중소·벤처기업의 회복과 성장에 역량을 집중해, 우리 기업이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중기부 대상 국정감사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그는 인사말을 통해 "올해는 우리 소상공인과 중소·벤처기업에 결코 녹록지 않은 시간이었다"며 "중기부는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이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고 소개했다.
![]() |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15gdlee@newspim.com |
중기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주요 정책들로는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급 ▲성실상환 인센티브 방안 마련 ▲소상공인 새출발 지원센터 출범 ▲모태펀드 마중물 역할 강화 ▲중소기업 기술탈취 근절방안 발표 ▲중소기업 매출액 기준 합리화 등을 언급했다.
이어 한 장관은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 소상공인과 중소·벤처기업이 직면한 여건은 여전히 쉽지 않을 전망"이라며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며, 내수 회복 추세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자 부채와 한계기업 증가 등 위험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중기부의 정책 방향으로 ▲소상공인 회복·성장 촉진 ▲스타트업 성장·벤처 생태계 활성화 ▲중소기업 혁신동력 창출 ▲지역 중소·창업기업 집중 육성 ▲공정한 기업 생태계 구축 등 크게 다섯 가지를 언급했다.
먼저 소상공인에 대해서는 "경영 안전망 강화를 위해 경영 활동에 사용할 수 있는 '경영안정바우처'를 지급하고, 관계부처와 협업해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 부담 경감 방안을 추진하겠다"며 "소상공인 역량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활용 경영 지원과 AI 민원상담도우미, 소비 데이터 분석 등 세 가지를 집중 추진하겠다"고 제시했다.
![]() |
정부세종청사 중소벤처기업부 전경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3.04.19 victory@newspim.com |
스타트업·벤처기업을 두고는 "'창업루키 프로젝트'를 추진해 매년 1000명 이상의 청년 창업가를 발굴하고, 액셀러레이터(AC)와 벤처캐피탈(VC)이 초기 투자와 밀착 보육을 돕는 벤처 스튜디오 방식도 적극 도입하겠다"며 "유망 AI·딥테크 기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 단계별로 집중 투자하는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에 관해서는 "뿌리부터 첨단까지 중소 제조기업의 AI 대전환을 지원하고, 스마트제조 전문기업 육성 등 제조혁신 기반도 강화하겠다"며 "중소기업 통상 환경 대응력 제고를 위해 수출바우처를 확대하고, K-뷰티 등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주력 수출 품목을 육성해 중소기업의 수출 성장과 해외진출을 지원하겠다"고 확언했다.
지역 중소·창업기업 육성방안으로는 "'5극 3특 성장엔진 전략' 등을 반영해 지역 주력산업을 개편하고, 5년간 1조원 규모의 지역 중소기업 전용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지역 혁신을 선도하는 지역 대표기업을 육성하겠다"며 "2030년까지 비수도권 14개 시도에 1개 이상의 벤처모펀드를 조성하고, 지역에 투자·창업 인력·인프라를 집중해 기술 창업을 촉진하겠다"고 발언했다.
공정한 기업 생태계에 대해서는 "납품대금 연동제 대상을 원재료 이외에 에너지 경비까지 확대하고, 불공정거래 피해 중소기업의 신속하고 실효적인 피해 구제를 위한 기금을 신설하겠다"며 "온라인플랫폼과 소상공인 등 기업 간 상생 협력을 촉진하고, 하위 협력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대금 지급을 위해 공공기관부터 상생 결제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