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정부 전폭 지원 업고 점유율 50%까지 확대
국내 기업 수조원 투자에도 세액공제 제도 한계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은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기간산업 중 하나다. 지난해만 해도 매출 60조 원, 수출 187억 달러를 기록했고, 설비투자만 11조 원을 넘었다. 전체 제조업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에 달한다. 약 8만 명의 고용도 이 산업에서 나온다. 숫자만 놓고 보면 단순한 한 업종이 아니라 국가경제의 축이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문제는 글로벌 경쟁 구도가 점점 거세지고 있다는 점이다. 액정표시장치(LCD)에서 이미 경험한 것처럼, 한때 국내 기업이 시장을 주도했지만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에 무너진 기억이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만큼은 '초격차'를 지켜내겠다는 것이 업계의 각오지만 상황은 녹록지 않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중국 BOE, CSOT, 비전옥스의 OLED 패널 점유율은 38%였다. 티안마, 에버디스플레이까지 합치면 절반에 이른다. 삼성디스플레이가 37%, LG디스플레이가 9%를 차지하며 아직 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격차는 빠르게 줄고 있다. 옴디아는 2028년 중국의 OLED 생산 역량이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놨다.
![]() |
김정인 산업부 기자 |
중국 업체의 성장 배경에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다. 직접 보조금은 물론이고 세제 혜택, 토지와 전기 같은 인프라 지원, 금융지원까지 이어지고 있다. 반면 국내 기업들은 일부 세액공제 혜택에 기대는 정도다.
삼성디스플레이는 8.6세대 중소형 OLED 설비에 4조 원 이상을 투자했고, LG디스플레이도 1조2600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문제는 이 같은 장기 투자가 당장 실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LG디스플레이는 수년간 적자로 법인세 자체를 내지 못했고, 그 결과 세액공제 혜택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수백억 원 규모의 이월 세액공제가 기한 만료로 사라진 사례는 제도의 한계를 보여준다.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도 이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업계는 미국 IRA처럼 세액공제액을 현금으로 환급받는 방식, 현행 10년인 이월기간을 20년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적자 상태에선 공제 자체를 활용하기 어려운 만큼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호소다.
디스플레이는 더 이상 단순한 패널 산업이 아니다. 전기차, 인공지능(AI) 기기, 차세대 IT 제품과 맞물려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산업이다. LCD 시장에서 주도권을 잃었던 경험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기업의 투자 노력과 더불어 제도적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하다. 물론 국가 재정 여건상 무조건적인 보조금 확대는 쉽지 않다. 그러나 세제 지원이 불안정하면 기업은 투자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불확실성을 안게 된다.
초격차 전략은 기업이 만든다. 하지만 그 초격차를 지탱하는 제도적 토대는 국가가 마련해야 한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