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전남도가 철강산업 편중으로 인한 지역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에 광양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공식 신청했다고 1일 밝혔다.
광양국가산단은 생산의 88.5%, 수출의 97.6%를 철강산업에 의존하는 구조로, 최근 글로벌 공급과잉과 중국산 저가재 공세, 내수 부진 등으로 철강 매출이 급락하면서 지역경제 전반에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 |
포스코 광양제철소. [사진=전남도] 2025.10.01 ej7648@newspim.com |
실제 2025년 2분기 기준 광양국가산단 1차 금속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9.43%, 2023년 대비 7.45% 감소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주요 제품 매출도 줄고, 협력 중소기업들의 매출·생산·영업이익이 동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 인구 유출과 상권 침체가 심화되며 광양읍 주요 상권 공실률은 17.2%로 전국 평균(10.2%)을 크게 웃돌고 있다.
전남도는 이번 신청과 함께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총 3천871억 원 규모의 지원 사업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했다. ▲철강 R&D 및 제조혁신 ▲인력양성·고용안정 ▲중소·중견기업 금융지원 ▲상권활성화 및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노후산단 재생 및 AX지원센터 구축 등이 포함됐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철강산업 기반인 광양의 위기는 곧 국가 기간산업 위기"라며 "정부의 선제적 개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기업 대상 긴급경영안정자금 융자 우대(최대 10억 원), 국비 보조율 상향, 지역상권 활성화 지원 등 혜택이 주어진다. 지정 여부는 10월 산업부 현지 실사와 11월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