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지수, 2020년 이후 가장 강한 3분기
S&P500·다우, 5개월 연속 오름세
나스닥, 6개월 연속 상승 행진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30일(현지시간) 상승 마감했다. 주요 지수는 15년간 가장 강한 9월을 기록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1.82포인트(0.18%) 오른 4만6397.89에 마감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7.25포인트(0.41%) 상승한 6688.46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68.86포인트(0.30%) 뛴 2만2660.01로 집계됐다.
투자자들은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 일시 중지) 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이에 주목하고 있다. 미 노동부는 셧다운 발생 시 오는 3일 예정된 9월 고용 보고서 발표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날 밤까지 의회가 단기 예산안을 처리하지 않으면 1일부터 정부는 셧다운에 돌입한다.
셧다운이 장기화하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소매 판매 등 이달 말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에 유효할 수 있는 지표 역시 발표되지 못한다.
재니 몽고메리 스콧의 마크 루시니 최고 투자 전략가는 "아마도 정부 셧다운 가능성을 앞두고 일부 포지션 청산이 있는 것 같다"며 "셧다운이 발생하고 금요일(3일)을 넘어 지속된다면 우리는 금요일 발표 예정인 고용보고서 같은 중요한 경제 데이터를 축적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투자자들로 하여금 현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약간은 어두운 상태에 머물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셧다운 우려에 하락하던 주요 지수들은 거래가 진행되면서 낙폭을 반납했다. 과거 셧다운이 장기화하지 않았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유지했다.
바이털 널리지의 애덤 크리사풀리 최고경영자(CEO)는 "워싱턴과 관련해서 시장은 셧다운이 일어날 것을 널리 예상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대체로 관망하고 있다"며 "그러나 이것이 2주 이상 이어진다면 사람들은 점점 더 우려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연방 의회의사당.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날 발표된 고용 지표는 전달 대비 개선세를 보였다. 미 노동부가 공개한 8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8월 구인 건수는 전달보다 1만9000건 증가한 722만7000건이었다. 이는 로이터가 집계한 경제 전문가 기대치 718만5000건을 웃도는 수치다.
고용은 11만4000건 증가한 512만6000건이었으며 해고 건수는 6만2000건 감소한 172만5000건이었다.
소비자들은 고용 시장을 우려했다. 콘퍼런스보드(CB)가 발표한 9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4.2로 8월보다 3.6p 하락했다. 이는 월가 기대치 96.0을 밑돈 수치다.
일자리가 "많다"고 답한 응답자는 26.9%로 8월보다 3%p 이상 하락했고, "일자리를 얻기 어렵다"고 답한 응답자는 19.1%로 전월 대비 보합을 기록했다.
코메리카은행의 빌 애덤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8월 JOLTs 보고서가 저속 노동시장을 재확인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큰 그림에서 보자면 미국은 여전히 저채용, 저해고, 저속 노동시장을 가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일부 전문가는 9월 고용 보고서 발표 지연이 오히려 시장에 긍정적일 수 있다고 봤다. 페이브 파이낸스의 피터 코리 공동 설립자 겸 최고 시장 전략가는
"이는 8월 고용 증가 수치가 2만2000명에서 제로(0) 이하로 떨어지는 잠재적 가능성을 시장이 보지 않게 해줄 수 있다"며 "이미 통계상 위험할 정도로 가까운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고용 보고서) 지연은 투자자들의 실망을 뒤로 미루고, 그 사이에 더 긍정적인 데이터가 발표돼 충격을 완화할 기회를 시장에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특징주를 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화이자와 약가 인하 합의 소식으로 제약주가 강세를 보였다. 이번 합의로 3년간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받게 된 화이자는 6.83%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제약사들도 비슷한 결정을 취할 것이라고 예고하면서 머크와 일라이릴리도 각각 6.81%, 5.02% 올랐다.
음악 스트리밍 업체 스포티파이는 CEO가 사임한다고 밝힌 후 4.18% 내렸다.
이날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99% 오른 16.28을 기록했다.
월간 기준으로 S&P500지수는 3.53%, 나스닥 지수는 5.61% 상승했다. 다우지수는 1.87% 올랐다. 역사상 약세장으로 여겨지는 9월 기록만 보면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2010년 이후 가장 강했다.
3분기 중 다우지수는 5.22% 올랐으며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7.79%, 11.24% 급등했다. S&P500의 분기 상승률은 지난 2020년 이후 가장 높았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