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계열사 대표 교체…40대 CEO·첫 여성 CEO 전진 배치
실적 부진한 계열사·자회사 대표 변경...성과주의 속 신상필벌 재확인
'정용진, 이커머스 사업 재편에 초점…정유경, 면세·패션 칼바람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이마트와 ㈜신세계를 각각 맡고 있는 정용진·정유경 회장이 26일 실시한 임원 인사에서 '신상필벌' 기조를 재확인했다.
또한 40대 대표이사들이 대거 발탁되며, 세대교체를 통한 조직 혁신 의지가 명확하게 드러났다는 평가도 나온다. 신세계 부문에서 40대 첫 여성 CEO(최고경영자)도 나왔다. 1985년생 이승민 총괄은 신세계인터내셔날 코스메틱2부문 신임 대표로 내정됐다. 정유경 회장 승진 이후 실시된 첫 인사에서 파격 인사를 단해하며 철저한 성과주의 기조를 분명히 했다는 분석이다.
![]() |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왼쪽)과 정유경 ㈜신세계 회장. [사진=각사 제공] |
◆8개 계열사 대표 교체…'안정 속 쇄신' 기조
이번 인사에서 그룹 전체 49개 계열사 가운데 8개 계열사·자회사의 대표가 교체됐다. 이마트 부문에서는 지마켓·SSG닷컴·신세계푸드·조선호텔·신세계건설 등 4곳, 신세계 부문에서는 신세계인터내셔날 패션·코스메틱, 신세계디에프(면세점), 신세계라이브쇼핑 등 4곳의 대표가 각각 변경됐다.
이마트는 그간 수시 인사 기조로 '안정'을 택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으나 예상 외로 교체 폭이 컸다. 반면 ㈜신세계는 정유경 회장이 회장 취임 1년을 맞은 시점이라는 상징성에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실적 부진 계열사를 중심으로 칼을 댔다. 지난해 대부분 계열사 대표를 유임시켰던 것과는 대비된다.
이번 인사에서 신규 임원 32명 중 14명이 40대다. 전체 임원 중 40대 비율은 16%로, 이전의 2배 수준으로 늘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성과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리더십을 전면 배치해 본업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고 설명했다.
![]() |
제임스장 지마켓 신임 대표이사. [사진=신세계그룹] |
◆정용진, 이커머스 사업 쇄신 드라이브
정용진 회장은 적자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이커머스 사업을 정조준했다. 지마켓과 SSG닷컴 대표를 동시에 교체하며 체질 개선에 나선 것이다.
지마켓 신임 대표에는 알리바바 동남아 플랫폼 라자다를 이끌었던 1985년생 제임스 장(장승환)이 내정됐다. 알리바바와 합작법인 출범을 앞둔 지마켓 재건이란 중책을 부여받았다. SSG닷컴은 최택원 이마트 영업본부장이 새 대표로 선임됐으며, 적자 개선이란 숙제를 떠안았다.
![]() |
문성욱 (주)신세계라이브쇼핑 대표이사 兼 (주)시그나이트 대표이사. [사진=신세계그룹 제공] |
◆정유경 회장 승진 이후 첫 인사...면세·패션 '칼바람'
지난해 정유경 회장 취임 이후 첫 인사에서 실적이 부진한 계열사에 과감한 변화를 줬다. '리틀 이명희'라 불리는 정유경 회장은 실적 중심 경영에 더욱 무게를 둔 모습이다.
신세계디에프 새 대표에는 조선호텔·스타벅스 등을 이끌었던 베테랑 이석구 신세계라이브쇼핑 대표가 선임됐다. 인천공항 면세점 철수 여부와 재입찰 등 굵직한 현안을 해결해야 하는 중책을 맡았다. 면세점은 지난해 매출 2조원을 넘겼지만 359억원 적자를 기록했고, 올해 2분기에도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이석구 대표의 빈자리는 정유경 회장의 남편인 문성욱 시그나이트 대표가 채웠다. 이번 인사에서 사장으로 승진한 문 대표는 신세계라이브쇼핑을 겸직하며 T커머스 재도약 과제를 짊어지게 됐다.
신세계인터내셔날 패션 부문은 윌리엄 김 현 대표가 물러나고 김덕주 해외패션본부장이 새 대표로 내정됐다. 김 신임 대표는 글로벌 네트워크와 경험을 토대로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젊은 리더·첫 여성 CEO 전면 배치
신세계인터내셔날 코스메틱1부문 새 대표에는 1980년생 서민성 대표가 선임됐다. 서 신임 대표는 신세계백화점과 신세계인터내셔날에서 뷰티 사업 혁신 전략을 이끈 전문가다.
코스메틱2부문 대표로 내정된 1985년생 이승민 대표는 그룹 최초의 여성 CEO라는 점에서 파격적 기용이란 평가를 받는다. 이승민 대표는 뷰티 브랜드 '어뮤즈'를 설립·성공시킨 후, 신세계인터내셔날에 인수된 이후에는 레이블5 총괄을 맡아 비디비치를 담당해왔다.
![]() |
박주형 신세계 대표이사 사장, 한채양 이마트 대표이사. [사진=신세계그룹] |
◆이마트·신세계 투톱 체제 유지…안정·혁신 병행
한편 신세계그룹은 주력 계열사인 이마트와 ㈜신세계 부문의 대표 투톱 체제를 유지하며 경영 안정을 꾀했다.
한채양 이마트 대표는 이마트·이마트에브리데이·이마트24를 아우르는 원(ONE) 대표로서 매입 통합시스템 구축과 출점 구조 개편을 통해 실적 개선 기반을 마련했다.
박주영 ㈜신세계 대표는 명동타운 개발과 센트럴시티 프로젝트, 강남점 식품관·본점 '디 에스테이트' 리뉴얼 등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백화점 사업의 성과를 이끌어냈다. 신세계 강남점의 '신세계 마켓'은 오픈 한 달 만에 40만 명을 끌어모으며 흥행에 성공했고, '디 에스테이트' 역시 매출과 방문객이 20% 이상 증가하며 대표적 성공 사례로 꼽힌다.
nr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