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불' 거론하며 투자 이행이 관세 인하 전제조건 강조
WSJ "백악관, 7월 발표된 한미 합의 내용 '미세 조정' 시도"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대미 투자가 '선불'로 이뤄질 것이라고 공개 발언한 가운데, 미국 측이 한국의 투자 금액을 상향하려는 움직임까지 포착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무역 협상 성과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아시다시피 우리는 일본에서 5500억달러(약 774조9500억원), 한국에서 3500억달러를 약속 받았다"면서 "그것들은 선불"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무역 협상 성과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인데, 3500억달러를 선불이라고 발언한 것은 투자 이행이 관세 인하의 전제조건임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일본과 달리 후속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는 한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로 읽힌다. 한국에 대한 협상 압박은 비공개 석상에서도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 |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회담 중인 이재명 대통령(좌)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우) [사진=로이터 뉴스핌] |
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미 무역 합의가 불안정한 상태라며, 미국이 협상 조건을 '미세 조정(fine-tune)'하려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최근 한국 측과의 대화에서 7월 이미 보장된 3500억달러 규모를 다소 상향하는 방안을 논의했고, 최종 합의금액이 일본의 5500억달러에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국 정부 자문관도 이 논의에 관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트닉 장관은 또 한국이 제공할 자금 중 더 많은 비중을 대출이 아닌 현금으로 충당해야 한다는 입장도 비공식적으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이 때문에 한국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미국이 합의 목표를 변경하고 있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한국 정부가 최근 워싱턴 주재 대사관을 통해 미국 내 우방들에게 "이미 구두 합의를 마친 뒤 미국이 막판에 추가 양보를 요구하고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백악관 관계자는 WSJ에 "한국과의 합의를 미세 조정 중일 뿐, 근본적으로 뒤집을 만한 극적인 변경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방어에 나섰다. 다만 구체적인 합의 틀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WSJ는 한국과의 합의가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다수 국가와의 관세 협상을 가늠할 바로미터라며, 성사 여부가 다른 협상의 동력 확보에도 직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