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갤러리 두인서 '디지털 헬스케어 세미나' 개최
연내 만성질환 디바이스 출시 목표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진단과 예방, 치료를 아우르는 통합 에코 시스템을 통해 국내를 선도하고 해외까지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시니어 만성질환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HLB라이프케어의 김민수 고문은 지난 25일 서울 강남 갤러리 두인에서 열린 'HLB라이프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세미나'에서 회사의 사업 비전을 이같이 밝혔다.
![]() |
김민수 HLB라이프케어 고문이 지난 25일 열린 디지털 헬스케어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HLB] |
HLB그룹은 디지털 헬스케어 영역을 치료에서 진단으로 확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기존 의약품을 통한 치료 중심에서 진단 및 예방 영역 확장을 위한 M&A를 시도 중이다. 아울러 AI 의료 헬스케어 협의체를 출범, 대사질환 예측과 맞춤 치료 에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김 고문은 그 일환으로 연내 '디지털 기반 만성질환 관리 디바이스'를 출시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다만 한국은 해외보다 규제 등의 측면에서 상황이 쉽지 않은 점도 언급했다. 그는 "규제는 위기가 아닌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선제적으로 데이터 거버넌스를 만들어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까지 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고문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데이터, 알고리즘, 플랫폼 기반으로 디지털화 되어가고 있다"며 "기존의 치료 위주의 디지털 헬스케어가 이제는 만성질환 예측과 예방 관점으로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의 구체적인 로드맵으로는 데이터 허브 구축을 제시했다. 그룹 내 의료와 임상, 신약 및 사용자의 오믹스, 라이프로그, 커머스 데이터를 통합한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동민 제이엘케이 대표도 발표자로 나서 '뇌졸중 치료에서 인공지능 관리'를 주제로 자사의 AI 시스템과 뇌졸중 의료 시장에서의 AI 필요성 등을 제시했다.
유기봉 연세대 교수는 '의료이용 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예측 AI 모형'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토대로 질병의 중증도를 파악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사례로 '치매발생 예측 모형'을 소개하기도 했다.
정문정 뷰노 실장은 '생체신호 기반 의료 AI 솔루션의 임상 활용'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뷰노의 심정지 예측 솔루션 '딥카스'를 소개하며 5개 병원과의 다기관 후향 임상 결과 일관적으로 우수한 심정지 예측을 입증했음을 알렸다.
안철우 HLB라이프케어 대표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해 세미나 자리를 마련했다"며 "다양한 의견을 통해 해답을 찾을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