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중국 충칭과 경제·문화 협력 MOU 체결
김 지사, 실질적 협력 위해 AI기업 CEO 동행
한중경제우호센터 설립으로 교류 지속 추진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가 중국 서부 경제 중심지 충칭(重慶)에 발판을 마련하며 신성장 거점 확보에 나섰다.
![]() |
23일 오후 충칭시내 호텔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후엉화 충칭시 시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3일 충칭시 인민정부 청사에서 후헝화(胡恒華) 충칭시장과 만나 우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도가 중국 중서부 지역과 우호협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지사는 "오늘 협약식이 단순히 '서명 세리머니'로 끝나길 원치 않는다"며 "실질적인 협력관계로 이어져야 한다는 의미에서 도의회 의장과 경기도 대표 AI기업 CEO들과 함께 왔다"고 강조했다.
후 시장은 김 지사의 발언을 꼼꼼히 메모하며 "실무팀을 꾸려 실속 있게 추진하겠다"고 화답했다.
◆ 세계 최대 '독립시' 충칭과 맞손
중국의 4대 직할시(베이징·상하이·톈진·충칭) 가운데, 경기도는 이번 협약으로 톈진에 이어 충칭과도 우호협력을 체결했다. 김 지사는 곧 상하이와도 MOU를 맺을 예정이어서 베이징을 제외한 중국 직할시와 모두 파트너십을 구축하게 된다.
![]() |
23일 오후 충칭시내 호텔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후엉화 충칭시 시장이 우호협력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충칭은 면적 8만2403㎢로 대한민국 국토의 80%에 해당하며, 인구만 3200만명에 달한다. 지역총생산(GRDP)은 4477억 달러(약 623조원)로 중국 도시 중 4위, 성장률은 5.7%에 이른다.
자동차·전자·스마트제조 산업이 발달해 SK하이닉스, 포스코, 한국타이어 등 한국 기업이 이미 다수 진출해 있다.
◆ 경제·문화 전방위 교류 협력
이번 협약에 따라 양측은 ▲경제통상 ▲과학기술 ▲교육 ▲문화·관광 ▲환경보호 ▲정보통신 ▲보건의료 ▲노인복지 ▲중소기업 지원 등 다방면에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대표단 상호 방문과 서한 교류를 통한 지속적인 소통, 국제행사 참여도 약속했다.
아울러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충칭시 상무위원회와 함께 '한중경제우호협력센터'를 설립해 기업·청년·기관 협력창구로 운영한다.
![]() |
23일 오후 충칭시 호텔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후엉화 충칭시 시장 등 지도부와 면담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또 경과원은 충칭 량장신구 관리위원회와 AI·바이오·청년인재 취업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량장신구는 국가급 신구로, 자동차·IT·바이오 산업이 집적된 중국의 핵심 개방거점이다.
◆ 김동연 "충칭-경기, 산업·발전 닮은꼴"
김 지사는 협약식에서 "충칭처럼 경기도도 국가 경제와 산업의 심장부"라며 "두 지역은 전통 제조업과 첨단산업이 공존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 보완적 협력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충칭의 삼국지 유적지 '백제성'과 수원의 화성을 잇는 관광 교류를 확대하자"는 제안을 내놓자, 후 시장도 깊은 공감을 표했다.
◆ 민선7기 씨앗, 민선8기서 열매
경기도는 이미 2017년 이재명 대통령이 경기도지사 시절 한국 지방정부 최초로 충칭에 경기비즈니스센터(GBC)를 설치하며 기반을 닦았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우호협약은 무산됐고, 이번 민선8기 들어 결실을 맺었다.
![]() |
23일 오후 충칭시 호텔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후엉화 충칭시 시장 등 지도부와 면담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
김 지사는 "오늘 협약은 경기도와 충칭, 나아가 한중 양국의 협력 지평을 넓히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성과로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