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만에 구금상태서 풀려나 전세버스 타고 이동
사복 차림으로 수갑 차지 않고 비교적 밝은 표정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지난 4일 미국 이민당국의 대규모 검거작전 끝에 체포·구금됐다 풀려난 한국인 근로자 316명을 태운 전세기가 11일 오전 11시38분(현지시간)께 조지아주 하츠필드-잭슨 애틀란타 국제공항을 이륙했다. 이들을 태운 대한항공 전세기는 14시간 남짓 비행한 뒤 한국시간 12일 오후 3시께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앞서 미 이민당국에 구금됐다 7일만에 풀려난 한국인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 14명 등 330명은 이 날 새벽 2시18분께 전세버스 8대에 나눠 타고 포크스턴 구금시설을 출발했다. 사복 차림으로 체포 당시와 달리 수갑과 쇠사슬을 차지 않은 근로자들 중 일부는 환한 표정으로 웃으며 취재진을 향해 손을 흔들어 보이는 등 비교적 밝은 표정이었다.
이들을 태운 버스는 6시간 남짓 달려 오전 8시30분께 대한항공 전세기가 계류중인 공항 화물청사 앞에 정차했다. 스튜어트 구금시설에서 석방된 여성 근로자들이 탄 버스 1대도 비슷한 시간 공항에 도착했다. 공항 출국장에서 출국 수속을 밟는 일반 탑승객과 달리 한국인 근로자들은 버스에서 기다리다 전세기에 바로 탑승한 뒤 별도의 신원 확인 절차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 |
대한항공 여객기가 이륙중인 가운데 지난주 미국의 자동차 배터리 공장에서 이민 단속으로 구금된 근로자들을 송환하기 위해 전세로 마련된 대한항공 전세기가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에 서 있다. (2025년 9월 10일)[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번 사태 수습을 위해 미국을 찾은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 등도 이들과 함께 전세기에 탑승했다. 앞서 외교부는 전세기가 12일 오후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으로 탑승자들의 원활한 입국을 위한 절차도 유관 부처와 기관 간 협의를 통해 준비 중이라고 밝혀 이들이 최소한의 출국 절차만 거친 뒤 신속히 가족품으로 돌아갈 전망이다.
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는 모두 317명으로 이 중 구금시설 잔류를 택한 1명을 제외한 316명이 이날 귀국길에 올랐다. 또 중국인 10명, 일본인 3명, 인도네시아인 1명 등 외국 직원 14명도 전세기에 탑승해 미국을 떠났다.
잔류를 택한 한국인 근로자 1명은 가족이 모두 미국에 거주 중인 영주권자로 구금된 상태에서 법적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보석 등의 법적 장치를 통해 구금 시설을 벗어나 거주지에서 법원의 판결을 기다릴 수도 있는데 정부는 관련 영사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대한항공이 한국인 근로자들의 귀국을 위해 투입한 전세기는 총 368석을 갖춘 B747-8i 기종으로 왕복 운항에 드는 10억원 안팎의 비용은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현지 공장 시공을 맡은 현대엔지니어링이 분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이민 당국은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장 공장 건설 현장에 헬기와 기관총까지 동원한 대규모 불법 이민 단속반을 투입해 한국인 317명을 포함해 475명을 체포해 구금했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