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청년 한부모가구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결과
청년 한부모가구 수 12.6%↓
경제활동·중위소득 등 양부모가구가 모두 높아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청년 세대에서 자녀를 둔 한부모가구가 10% 넘게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양부모가구와 비교할 때 한부모가구의 경제활동, 소득, 주거 여건 등 전반에서 큰 격차를 보였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3년 청년(20∼39세) 한부모가구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 결과를 11일 공개했다.
2023년 기준으로 자녀가 있는 청년 가구 중 한부모가구의 비중은 7.6%로 2020년에 비해 0.9%포인트(p) 상승했다. 청년 한부모가구 수는 8만1000가구로 2020년(9만3000가구)보다 12.6% 줄었다.
![]() |
[제공=통계청] |
청년 한부모가구의 78.2%는 여성 가장이 이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양부모가구는 남성 가장이 73.9%를 차지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가구주의 비중은 양부모가 더 높지만, 20대에서는 한부모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청년 한부모가구 중 '모와 자녀'만으로 구성된 가구는 66.9%, '부와 자녀'는 16.9%를 차지했다. 유자녀 청년가구 중 여자 가구주의 한부모가구 비중은 20대 초반(42.4%)이 가장 높았고, 30대 초반(18.3%)에 가장 낮았다.
경제활동에서의 차이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한부모가구주의 취업률은 65.0%로 양부모가구(86.9%)보다 21.9%P 낮았다. 여성 한부모가구의 취업률은 61.4%로, 같은 여성 양부모가구주(70.4%)보다 9.0%P 낮았다.
한부모 가구주의 연간 중위소득은 2733만원으로, 양부모가구주(5197만원)의 '절반' 수준이었다. 남성 한부모 가구주는 4238만원으로 여성(2508만원)보다 59.1% 높았다.
![]() |
[제공=통계청] |
청년 한부모 가구주(24.0%)의 주택소유 비중도 양부모 가구주(47.7%)보다 낮았다. 한부모가 소유한 주택의 자산가액은 '6000만∼1억5000만원 이하'에 집중된 반면, 양부모는 '1억5000만∼3억원 이하' 구간에 집중됐다.
지역별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울산(32.5%포인트), 경남(29.8%포인트) 지역에서 한부모와 양부모 간 주택 소유율 차이가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아파트 거주 비중은 한부모가구(54.7%)보다 양부모가구(81.3%)가 더 높았다. 단독·다세대 주택 거주는 한부모 비중은 상대적으로 좁은 40~60㎡ 이하 구간에, 양부모가구는 60~100㎡ 구간에 집중됐다.
한편 청년 한부모가구의 평균 자녀수는 1.44명으로, 2020년(1.46명)에 비해 0.02명이 줄었다. 자녀수별 비중은 1명이 63.1%, 2명이 30.7%으로 각각 집계됐다.
![]() |
[제공=통계청] |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