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은 학회장 "공사비 상승·인력난 겹쳐… 자율시공 상용화 절실"
주제발표서 드론·생성형 AI·스마트 감리솔루션 등 최신 기술 제시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AI(인공지능) 로봇기술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고, 건설업계가 직면한 인력난·안전사고·생산성 저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회와 학계, 업계 전문가들이 기술 도입의 필요성과 제도적 뒷받침 방안을 함께 논의한다.
![]() |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손명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용인을)이 '건설현장 AI기반 로봇기술을 활용한 건설관리 고도화 방안 세미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5.09.10 chulsoofriend@newspim.com |
10일 한국건설관리학회는 국회의원회관에서 '건설현장 AI기반 로봇기술을 활용한 건설관리 고도화 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AI와 로봇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짚어보고, 건설현장에서 상용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손명수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용인을)은 개회사를 통해 "건설업은 국가 경제와 국민 삶을 떠받치는 핵심 기반 산업"이라며 "현재 현장근무 기피와 인력난, 안전 사고, 생산성 저하 등 복합적인 도전 과제를 직면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상황에서 AI와 로봇기술의 도입 및 활용은 건설현장의 혁신을 이끌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며 "시장의 안전성과 생산성을 높이고 관리 효율성을 강화하며, 지속가능한 건설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변화"라고 말했다.
다음으로 개회사를 담당한 이동은 학회장은 "건설 경기의 급격한 침체에 이어 공사비 인상에 따른 사업비 증가로 재무적 불안정성이 크게 증가했다"며 "안전사고도 자주 발생해 현장관리의 어려움과 사회적 책임이 커졌고, 건설인력의 수급부족으로 인해 인건비도 크게 뛰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같은 위험 요인 증대로 미래 건설산업에서의 AI와 자율시공기술 개발·상용화가 절실하다"며 "스마트건설기술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법률적 또는 제도적 육성이 필요한 만큼, 국회와 정부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부연했다.
주제 발표는 ▲'AI 건설기술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 로봇기술의 비전'(김주형 한양대 교수) ▲'건설현장 로봇기술 적용사례와 정부의 로봇기술 활성화 방안'(이성재 삼성물산 그룹장) ▲'건설현장 로봇 도입 현실과 로봇기술 정책 방향'(조원석 현대건설 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스마트구조 감리솔루션 개발을 통한 건설안전 혁신 방안'(박홍근 서울대 교수) ▲AI 드론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 관리업무의 고도화(박정운 DL이앤씨 스마트건설 부장) ▲생성형 AI를 활용한 건설프로젝트 계약관리 효율성 확보(이희웅 대우건설 스마트건설연구팀 책임) 등 6개로 계획돼 있다.
주제발표 후에는 홍태훈 연세대 건축공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박명주 국토부 기술정책과장 ▲진경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본부장 ▲김성종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본부장 ▲엄신조 경일대 건축토목공학과 교수 ▲박종훈 포스텍 기계공학과 겸임교수 ▲이근형 포스코E&C 창의혁신반장 등이 패널로 참석하는 토론이 진행된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