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강제 송환...보이스피싱 사범 18명 등 사기 사범 25명
도박·강력 사범·횡령·성폭력처벌법 위반 사범 등 포함
국내 10여개 관계기관 및 필리핀 당국과 공조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은 3일 전세기를 투입해 필리핀으로 도피한 피의자 49명을 국내로 일시에 강제송환했다. 이번 송환은 단일 국가에서 동시에 이뤄진 최대 규모의 해외 도피사범 송환이다.
이번에 송환된 49명에는 보이스피싱 등 민생 경제범죄 사범 18명을 포함해 사기사범이 25명으로 가장 많다. 이외에도 ▲도박개장 등 사이버범죄 사범 17명 ▲특수상해 혐의를 받는 관리 대상 조폭 1명 등 강력 사범 3명 ▲횡령·외국환거래법 위반·조세범처벌법 위반·성폭력처벌법 위반 사범 각 1명 이다.
인터폴 적색수배서가 발부된 대상자는 4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국내 수사기관에서 내려진 수배는 총 154건에 이른다.
송환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39세(최고령자 63세, 최연소자 24세)이며 평균 도피기간은 3년 6개월이다. 최장기 도피자는 16년 동안 필리핀에서 은신해 추적을 피했다가 이번에 검거됐다.
이들의 사기 범죄로 피해를 입은 국민은 총 1322명이며 피해액은 약 605억원이다. 도박개장 혐의를 받는 피의자들이 운영한 도박사이트의 규모는 10조7000억원에 이른다.
특히 송환된 인원 중에는 지난해 필리핀 세부에서 발생한 한국인 간 강도상해 사건 주범·공범과 2018년부터 약 5조3000억원 규모의 온라인 불법 도박 사이트를 운영한 범죄단체 조직원 10명도 포함됐다.
![]() |
경찰청이 3일 전세기를 투입해 필리핀으로 도피한 피의자 49명을 국내로 일시에 강제송환했다. 사진은 3일 필리핀 니노이 아키노 공항에서 해외 도피사범을 송환하는 모습. [사진=경찰청] |
붙잡힌 조직원 10명 중 8명은 지난 6월 4일 필리핀에 한국 경찰관을 파견해 코리안데스크와 필리핀 이민청 수배자추적팀 요원 30여명과 공조해 현지 주거지를 급습한 끝에 검거했다.
경찰청 국제협력관은 이번 단체송환 작전을 위해 약 4개월에 걸쳐 국내외 관계부처와 협력해왔다. 이번 작전에는 ▲외교부 ▲국토교통부 ▲서울지방항공청 ▲인천국제공항경찰단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공항출입국·외국인청 ▲국립인천공항검역소 ▲인천공항세관 등 10여개 기관이 참여했다.
경찰청은 단체 송환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수차례 회의를 열어 역할 분담과 세부 절차를 조율했고, 인천공항 이동 동선, 경력배치 현황, 입국절차 전반에 대해 최종 점검 회의를 열고 준비에 나섰다.
필리핀 현지에는 절차 점검을 위해 담당자를 파견해 필리핀 이민청장을 직접 면담함으로써 협력 의지를 표명하고 송환 성사의 기반을 다졌다.
현지 당국과 교섭 과정에서는 주필리핀 한국대사관의 역할이 컸다. 대사관은 경찰 영사 및 코리안데스크를 중심으로 사건·사고 영사 등 해외안전팀 전원을 투입해 필리핀 대통령실, 이민청, 법무부 등 현지 당국과 긴밀히 소통해왔다.
이상화 주필리핀 대사는 이날 오전 필리핀 마닐라 공항에서 진행된 현지 브리핑에서 "필리핀과 한국은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서 이번 단체송환은 필리핀이 더는 범죄자들의 도피처가 아니라는 점과 국외로 도피한 범죄자는 반드시 법의 심판을 받는다는 메시지를 줘 양국 국민의 안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송환 작전에는 국내 수배관서 경찰관과 경찰병원 의료진 등 130여명이 동원됐고,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는 대테러기동대를 비롯해 경비 경력 100여명이 배치됐다.
경찰청은 해외도피사범 급증 등에 대응하기 위해 매년 주요 국외도피사범을 선정해 관리하고 있다. 이번 송환대상에는 '집중' 관리 대상자 3명을 포함해 지난해 '핵심' 등급 대상자 1명, 2022년 '중요도피사범 100'에 선정된 대상자 1명도 포함돼 있다.
올해 4월부터는 '인터폴을 통한 국외도피사범 집중 검거·송환 작전도 시행하고 있다.
경찰은 범죄수익을 기반으로 도피 생활을 이어오던 피의자들에 대해 향후 수사와 재판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준형 경찰청 국제협력관은 "이번 대규모 송환 작전으로 해외를 도피처 삼아 법망을 피하려는 범죄자들에게 더는 숨을 곳이 없다는 사실을 각인시켜줬으며 특히 경찰에서 주필리핀 대한민국대사관을 비롯한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자들을 국내 사법절차에 세운 국제공조의 모범사례이다"고 평가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