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은 피해 복구 위한 최소한 통로…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위메프가 인수자를 찾지 못해 파산 위기에 처하자 미정산 피해자들이 법원에 회생 기간을 연장해달라고 요청했다.
1일 티몬·위메프 피해자들로 구성된 검은우산 비상대책위원회는 입장문을 통해 "현재 분위기는 선택지가 없어 파산으로 내몰리는 상황이지만, 이 경우 피해자는 그대로 방치되고 어떠한 실익도 찾을 수 없다"며 "특히 파산이 진행된다 하더라도 부가가치세 환급조차 신속히 이뤄지지 않는 현실에서, 파산은 소비자와 중소상공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큐텐 계열 전자상거래 업체 위메프의 미정산 사태가 지연되는 가운데 26일 서울 강남구 위메프 본사에 환불을 원하는 피해자 고객들이 접수 안내를 받고 있다. 2024.07.26 leemario@newspim.com |
이어 "(티몬에 이어) 위메프마저도 뚜렷한 결과 없이 지금 파산으로 결과가 끝난다면, 더욱 심각한 박탈감에 피해자들은 작은 희망도 없이 전적으로 스스로 고통을 감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비대위 측은 "검은우산비대위는 단 1%의 가능성이 남아 있다 하더라도 회생 절차를 이어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라며 "회생은 피해 복구를 위한 최소한의 통로이며, 이제는 정부가 40만명이 넘는 피해자들의 보호를 위해 공익적 차원으로 적극 개입해야 할 시점이다. 새로운 인수 방법을 모색하거나, 필요하다면 정부가 직접 인수를 추진하는 방안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입장을 담은 회생 연장 의견서를 지난달 29일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했다. 재판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하며, 설령 연장 기간이 1~2개월에 불과하더라도 지난 1년의 기간이 포함된 지금, 보다 철저한 관리와 감독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한다"고 덧붙였다.
티몬과 위메프는 지난해 7월 말 대규모 미정산 사태로 기업회생 절차를 밟게 됐다.
앞서 티몬은 새벽배송 전문기업 오아시스를 새주인으로 맞아 지난달 22일 회생절차를 종결했으나 위메프는 아직 인수자를 찾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법원에서 회생절차 폐지를 권고 후 파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