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과 한반도 비핵화 긴밀 협력키로
한국 NPT체제·비핵화 공약 철저히 준수 약속
안보·경제·첨단기술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
[서울=뉴스핌] 김종원 선임기자, 박찬제 기자 = 미국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한미동맹 현대화와 관련해 "한국은 한반도 안보를 지키는 데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우선 국방비를 증액할 것"이라면서 "늘어난 국방비는 우리 군을 21세기 미래전에서 반드시 승리하는 스마트 강군으로 육성하기 위한 첨단 과학기술과 자산을 도입하는 데 사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백악관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워싱턴DC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초청 강연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오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백악관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워싱턴DC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초청 강연을 하고 있다. [사진=KTV] |
이 대통령은 "미국의 대한(對韓) 방위 공약과 한미 연합 방위 태세는 철통같이 유지될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미동맹을 안보 환경 변화에 발맞춰 더 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현대화해 나가자는데 뜻을 함께 모았다"고 소개했다.
또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국방역량 강화 노력을 적극 지원하고 한미 간 첨단 방산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면서 "변화하는 안보환경과 위협에 철저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미 양국의 능력과 태세는 더욱더 확대되고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핵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한반도의 평화 정착과 비핵화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핵확산금지조약(NPT) 상 의무는 철저히 준수돼야 한다"면서 "그것이 남북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도 분명하고 한국은 NPT 체제를 준수하며 비핵화 공약을 철저히 지킬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
남북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국익 중심 실용 외교의 원칙은 남북관계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다"면서 "한미 양국은 북한의 도발에는 강력히 대응하는 동시에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노력도 병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오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백악관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워싱턴DC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초청 강연 후 질의 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KTV] |
이 대통령은 "한반도에 비핵·평화와 공존의 길이 열릴 때 한미동맹은 한반도를 넘어 글로벌 차원으로 업그레이드될 것"이라면서 "한국에 20만 명의 미국인과 2만8500명의 주한미군이 더욱 안전해지고 양국 국민의 일상도 더욱 번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간 관세협상 타결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한미가 타결한 관세 합의는 양국의 첨단기술 협력을 강화할 마중물로 작동할 것"이라면서 "세계 1위 역량을 갖춘 대한민국의 케이(K)-조선이 미국 조선업의 르네상스를 열어가며 양국이 공동 번영할 새로운 역사적 계기를 만들 것"이라고 다시 한번 한미 조선 협력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방미 전 한일 정상회담을 언급하면서 "그 새로운 역사에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파트너가 일본"이라면서 "저는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굳건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미일 협력을 긴밀히 다져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일 3국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공동 대처하며 인도-태평양 지역과 글로벌 차원에서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안보와 경제, 첨단기술의 세 가지 기둥 위에 우뚝 선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은 한미 국민을 위한 실용과 국익의 결정체로서 더욱 찬란하게 빛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