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국제투자표'…536억 달러 감소했으나 3분기 연속 1조 달러 상회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2분기 중 우리나라의 해외 증권 투자와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가 동시에 '역대급' 규모로 증가했다.
대외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를 뺀 순대외금융자산은 2분기 중 500억 달러 이상 감소했으나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1조 달러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은 20일 '2분기 국제투자표'(잠정)에서 분기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순대외금융자산은 1조304억 달러로 전분기말(1조840억 달러)에 비해 536억 달러 감소했다고 밝혔다.
대외금융자산은 2조 6818억 달러로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1132억 달러)를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1651억 달러 증가했다. 대외금융부채 1조 6514억 달러로 비거주자(외국인)의 증권투자(1860억 달러)가 늘면서 전분기말 대비2186억 달러 증가했다.
이중 증권투자 규모는 금융자산으로 인식되는 거주자의 해외 증권투자가 미국의 주가 상승으로 지분성 증권(주식)과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로 부채성증권(채권)이 동시에 증가하면서 전분기에 비해 1132억 달러 늘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의 증가다.
대외금융부채인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역시 국내 주가상승과 장기채권에 대한 외국인의 차익, 비차익 거래 수요 확대로 2분기에만 1860억 달러 증가했다.
2분기 외국인 증권투자 규모는 역대 2위이며 직접투자를 포함한 대외금융부채 증가 규모인 2186억 달러는 2020년 4분기 2403억 달러 이후 최대 증가다.
대외 채권·채무에서 2분기말 대외채권은 1조928억 달러로 전분기말(1조513억달러) 대비 414억 달러 증가했으며 대외채무는 7356억 달러로 전분기말(6834억달러) 대비 521억 달러 증가했다.
단기외채와 장기외채는 각각 177억달러, 344억 달러 증가했다. 단기 외채와 장기외채 증가는 모두 채권 등 부채성 증권(76억 달러, 307억 달러 증가)했다.
이에 따라 준비자산 대비 단기 외채 비율은 2분기말 40.7%로 전분기에 비해 4.3% 포인트(p) 올라갔으며 대외채무 중 단기외채 비중은 22.7%로 0.9%p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단기외채 비율이 상승한 것은 외국인의 단기채권 투자 확대에 기인했다"며 "준비자산 대비 비율이나 대외채무 대비 비중의 수준은 최근 3년의 변동범위내 수준이어서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준비자산 대비 비율은 변동범위내 상단에 대외채무 대비 비중은 변동범위내 하단에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준비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3.7%에서 42.3% 사이를 오갔으며 대외채 대비 비중은 20.9%에서 28.0% 사이에서 변동했다.
![]() |
[자료=한국은행] 2025.08.20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