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뉴스핌] 이형섭 기자 = 최근 2금융권에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대출 연체율이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10일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개 저축은행과 8개 카드사, 10개 캐피탈사로부터 제출받은 '2021~2025년 연령대별 개인신용대출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 신용대출의 60세 이상 차주의 연체율은 7.65%에 달해 2021년 동기 대비 3.01%포인트 상승했다.
![]() |
저축은행 신용대출 현황.[사진=허영 의원실] 2025.08.10 onemoregive@newspim.com |
같은 기간 카드론의 연체율은 2.10%에서 3.07%로, 캐피탈 신용대출의 경우 3.52%에서 5.46%로 각각 증가했다.
반면 20대에서 40대 차주의 연체율은 2023년 피크를 찍은 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저축은행의 20대 연체율은 2023년 5월 말 8.12%에서 5.27%로 하락했고 캐피탈 신용대출의 30대 연체율은 6.6%에서 4.72%로 줄었다.
![]() |
카드사 카드론 현황.[사진=허영 의원실] 2025.08.10 onemoregive@newspim.com |
대출잔액과 차주 수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카드론의 경우 최근 4년간 20대와 30대의 대출잔액이 약 1조9000억 원(10%) 줄어든 반면 50대와 60세 이상 고령층의 대출잔액은 약 7조2000억 원(45%) 증가했다. 차주 수 또한 20대와 30대는 약 57만명(26%) 줄어들었으나, 50대와 6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29만명(14%)이 증가했다.
캐피탈 신용대출에서도 20대와 30대는 차주 수가 각각 9만7000명(26%)과 6000억 원(12%) 감소한 반면 50대와 60세 이상 고령층은 차주 수가 2만2000명(10%) 줄었지만 잔액은 5000억 원(17%) 증가해 대출의 질이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 |
캐피탈사 신용대출 현황.[사진=허영 의원실] 2025.08.10 onemoregive@newspim.com |
허영 의원은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를 하면서 코로나19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을 받아 부채 축소가 이루어지지 않고 금융취약계층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소득 공백과 저성장이라는 구조적 문제가 지속된다면 사회적 손실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저신용자들이 최근 대출 규제로 인해 불법 사금융에 내몰릴 위험이 있다"며 "당국이 2금융권 내 안전망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onemoregiv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