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과 차량 픽업·밴 등 5종 공동 개발키로...2028년 출시
중남미 4종+북미 1종...연간 80만 대 이상 생산·판매 목표
무뇨스 "차량 외에도 저탄소 배출 철강 공동 소싱 협력 모색"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현대자동차가 미국 제네럴 모터스(GM)와 함께 2028년 출시를 목표로 차량 5종에 대한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
미국 1위 완성차 기업인 GM과의 공동 개발, 공동 생산을 통해 관세 피해가 없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을 늘리고, 글로벌 시장 중 판매 비중이 크지 않았던 중남미 시장 맞춤형 모델 개발을 통해 신시장 개척에도 나선다.
![]()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HMGMA에서 생산된 아이오닉 5 차량에 기념 서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
현대차는 7일 GM과 내연기관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모두 탑재할 수 있는 중남미 시장용 중형 픽업, 소형 픽업, 소형 승용, 소형 SUV 4종, 북미 시장용 전기 상용 밴 등 총 5종의 차세대 차량을 공동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대차와 GM은 지난해 9월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으며 '자동차 동맹'을 체결한 관계다.
호세 무뇨스(Jose Muñoz) 현대차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GM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다양한 세그먼트 영역과 시장에서 고객들에게 지속적으로 더 나은 가치와 선택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미 및 남미 시장에서의 양사 간 협력을 바탕으로 고객들이 원하는 아름다운 디자인, 고품질, 안전 지향의 차량과 만족할 만한 기술 등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2028년 출시를 위한 설계 및 엔지니어링 작업이 이미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양사는 공동 개발 차량의 양산이 본격화되면 연간 80만 대 이상을 생산 및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동 개발 과정에서 GM은 중형 트럭 플랫폼 개발을, 현대차는 소형 차종 및 전기 상용 밴 플랫폼 개발을 각각 주도하게 된다.
GM은 산하 브랜드 쉐보레(Chevrolet), GMC를 통해 시에라와 콜로라도 픽업 모델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현대차는 SUV 투싼과 세단 아반떼(미국명 엘란트라) 등이 글로벌 시장 인기 모델이다. 양사가 자사의 특장점을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복안이다.
![]() |
현대자동차는 미국 제너럴 모터스(GM)와 포괄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은 실판 아민(Shilpan Amin) GM 수석 부사장 겸 해외사업부문 사장, 마크 로이스(Mark Reuss) GM 사장, 메리 바라(Mary Barra) GM 회장 겸 CEO,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장재훈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 호세 무뇨스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현대차] |
양사는 공통의 차량 플랫폼을 공유하는 동시에, 각 브랜드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내외장을 개발할 계획이다.
양사는 2028년 출시를 목표로 중남미 시장용 신차를 위한 디자인 및 엔지니어링 관련 협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이르면 2028년부터 미국 현지에서 전기 상용 밴을 생산할 예정이다.
GM의 글로벌 구매 및 공급망 부문 최고 책임자인 실판 아민(Shilpan Amin) 수석 부사장은 "오늘 발표된 차량들은 중남미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그먼트와 북미 시장의 상용차 부문을 타겟으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GM과 현대차는 협업을 통해 고객들에게 더 다양한 선택지를 보다 빠르고 낮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에 공동 개발하는 첫 번째 차량들은 양사가 보유한 상호 보완적 강점과 스케일의 시너지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중남미 시장 공동 공략은 현대차의 글로벌 파이를 넓히는 전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의 올해 2분기 중남미 지역 도매 판매량은 8만5000대로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총 판매량 106만6000대 중 비중이 약 8% 정도에 불과하다.
양사는 북미 및 남미에서 소재 및 운송, 물류에 관한 공동 소싱 이니셔티브를 추진할 계획이며, 원자재, 부품, 복합 시스템 등 영역에서의 협력도 고려 중에 있다.
이 밖에도 양사는 지속가능한 제조 방식(Sustainable Manufacturing Practices) 실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탄소저감 강판 분야에서도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무뇨스 CEO는 "차량 외에도 탄소저감강판에 대한 공동 소싱 협력을 모색하고 있으며,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배터리 및 수소 연료 전지 기술 전반에 걸쳐 지속가능한 제조 및 혁신에 대한 공동의 약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 |
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카탈루냐 콩그레스 센터에서 열린 FISITA WMC에서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이 기조연설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
완성차를 넘어 자동차의 주요 부품인 강판에 대한 협력을 언급한 점도 눈에 띈다.
정의선 회장은 지난 3월 미국내 생산 거점인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준공에 맞춰 방미길에 올라 트럼프 대통령이 배석한 자리에서 직접 210억 달러(한화 약 30조원) 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미국 내 자동차 생산량을 늘리는 것과 함께 미국 루이지애나에 현대제철이 일관제철소를 건설하는 계획을 직접 알렸다.
정 회장은 당시 "이 약속의 핵심 부분은 철강과 부품에서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미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60억 달러를 투자하는 것"이라며 "특히 루이지애나에 새로운 시설을 설립해 미국 내 13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미국 내에 보다 안정적이고 자립적인 자동차 공급망의 토대가 될 현대제철의 수십억 달러 투자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현대제철의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 자동차용 강판을 생산해 공급할 계획이다.
나아가 GM 등 미국 완성차 메이커들의 전략 차종에 들어가는 강판을 주력으로 공급할 것으로 관측된다. 당시 현대차그룹이 발표한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을 비롯해 유럽 현지 글로벌 완성차 업체까지 공략하겠다는 방침에 부합한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