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설계사 참여로 차별화된 외관 모색
프라이빗 커뮤니티 시설로 가치 상승 기대도
고급화 바람에 급등한 사업비…재건축 딜레마 '여전'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그리고 여의도, 목동 등 주요 정비사업지를 중심으로 화려한 외관과 편리한 커뮤니티 시설 등으로 대표되는 아파트 고급화 바람이 불고 있다.
타 단지와 눈에 띄는 차이를 둬 향후 가치 상승을 노리는 것이 목표다. 다만 이 과정에서 공사비 상승이나 사업 지연 가능성이 따라올 수 있다는 단점도 지적된다.
![]() |
서울 주요 정비사업지 고급화 설계 및 공사비 추이 [그래픽=김아랑 미술기자] |
◆ 특화설계부터 프라이빗 커뮤니티까지… 대형사간 '차별화' 전쟁
2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여의도 대교 재건축 조합은 최근 특화설계를 담당할 해외 설계사로 영국 디자인·건축회사 헤더윅 스튜디오(Heatherwick Studio)를 선정했다.
헤더윅 스튜디오는 영국 디자이너 토머스 헤더윅(Thomas Heatherwick)이 설립한 회사로 뉴욕 허드슨 야드의 베슬(Vessel), 일본 도쿄 아자부다이 힐스 퍼블릭 공간 등을 설계했다. 이들이 한국에서 아파트 특화설계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교 재건축 조합은 차별화된 외관 설계를 위해 초기부터 해외 업체 선정을 추진해 왔다. 일본 롯폰기 힐스 등을 설계한 미국계 글로벌 건축설계사무소 그룹 저디(JERDE)와 경합 끝에 헤더윅 스튜디오와 손을 잡았다. 정희선 대교 재건축 조합장은 "예술성과 창의성을 갖춘 세계적인 디자인 회사와의 협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강남구 개포우성7차를 두고 경쟁을 펼치고 있는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대우건설은 고급 커뮤니티를 각각 내세우고 있다. 삼성물산은 단지 내 22m 높이의 '아트리움 커뮤니티'를 조성한다. 프라이빗한 아쿠아파크와 골프클럽, 러닝 트랙, 레스토랑 등이 들어선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아트리움 커뮤니티를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의 지하 공간을 선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건설은 같은 라인끼리만 이용하는 프라이빗 엘리베이터를 도입한다. 같은 층에 붙어있는 옆집과는 출입 동선이 완전히 분리된다. 입주민만 이용하는 주차공간·시네마·사우나도 설계에 포함됐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그동안 쌓아온 주택 건설의 모든 경험과 노하우, 개포우성7차 사업지에 대한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입지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한 다양한 설계 아이템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스카이브릿지 또한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설계의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아파트 동과 동을 연결하는 공중 통로로, 높은 곳에 설치되는 다리인 만큼 공사 난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지만 조합원 선호도가 높다. 화려한 외관으로 시선을 사로잡으며 향후 가치와 상징성을 제고하는 랜드마크 시설물로 자리잡을 수 있어서다.
최근 시공사 선정을 마친 상급지 정비사업지 대부분에서 스카이브릿지가 제시됐다. 용산구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을 수주한 HDC현대산업개발은 국내에서 가장 긴 330m의 스카이라인 커뮤니티를 제안한 동시에 이를 단지명인 '더 라인(THE LINE) 330'에도 반영했다. 삼성물산이 3월 수주한 서초구 신반포4차 재건축 '래미안 헤리븐 반포'에도 높이 170m, 길이 100m의 스카이브릿지가 설치된다. 단지 고급화와 한강 조망 극대화가 목표다.
호텔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지도 있다. 이달 총회에서 잠실우성1·2·3차 재건축 시공사로 선정된 GS건설은 파르나스호텔과 업무 제휴를 맺고 이 단지 스카이브릿지와 게스트하우스에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의 프라이빗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GS건설 관계자는 "단순한 신축 아파트가 아닌, 잠실의 새 랜드마크로 재탄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 3.3㎡ 공사비 1000만원 시대… 고급화 바람에 사업비 더 오른다
한국갤럽이 서울·경기·부산에 거주하는 20~69세 가구주와 그 배우자 1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거주 희망 주택 특화 컨셉 1위는 '다양한 커뮤니티가 갖춰진 집'이었다. 2020년 결과와 비교하면 '커뮤니티 특화'와 '고급 인테리어 특화' 컨셉 주택의 선호도가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한국갤럽 관계자는 "부대시설 또한 다양화와 고급화 전략을 통해 수요자들의 니즈를 충족하려 한다는 것이 최근 분양 아파트의 특징"이라며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해 고급 아파트 이미지를 구축함으로써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급화를 추구하는 가장 큰 이유는 향후 시세차익 상승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스카이브릿지와 피트니트센터, 사우나 등 고급 커뮤니티를 갖춘 서울 서초구 래미안원펜타스의 전용 84㎡는 최근 41억8000만원(27층)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썼다.
일본 도쿄 '아자부다이 힐스'를 개발한 모리빌딩의 디자인 파트너로부터 자문을 받아 고급 외관을 조성한 서초구 메이플자이 전용 84㎡ 입주권 또한 지난달 27일 55억원(20층)에 손바뀜했다. 불과 이틀 전인 6월 25일 동일 평형 입주권이 48억원(5층)에 매매됐다.
이같은 고급화 전략은 공사비 증가와 직결되는 만큼 일부 조합원의 반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지난달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낸 강남구 압구정2구역 재개발 조합은 3.3㎡당 1150만원으로 공사비를 책정했다. 앞서 설계사를 선정한 대교 재건축 조합이 내세운 공사비도 3.3㎡당 1120만원으로 여의도 내 재건축 추진 단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시공사 선정 초기부터 고급 재건축을 표방했던 서초구 원효성빌라 재건축 사업의 3.3㎡당 공사비는 1550만원에 달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건설사의 추가 고급화 시공에 따라 더 오를 수 있다. 더욱이 '혁신설계'를 이유로 사업기간이 연장되며 금융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는 일도 빈번하게 벌어진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고급화 설계나 커뮤니티 시공 문제로 사업 속도가 늦어져서 금융비용 등이 늘어나는 것보단 최대한 빠른 재건축을 추진해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조합도 더러 있다"고 말했다. 송파구 송파한양2차 재건축 조합은 시공사 선정 조건으로 스카이브릿지를 설계에서 제외할 것을 제시했다. 서울시 재건축 심의 과정에서 스카이브릿지와 갈등을 겪는 조합이 많아지면서 이 같은 리스크를 짊어지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셈이다.
그럼에도 자산가들 사이에서 고급화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지속될 것이라는 시선이 지배적이다. 이상민 삼일회계법인 파트너는 "10억원 이상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부자의 자산 절반 이상이 부동산이며, 향후 여유자금이 생기면 부동산에 가장 많이 투자할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란 조사 결과도 있는 만큼, 자산가를 대상으로 한 고가 부동산 잠재 수요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