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국방·의료 이어 사법 분야까지 확대"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코난테크놀로지는 145억원 규모의 대법원 '재판업무 지원을 위한 AI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사업'의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사업은 KT, 엠티데이타, 엘박스와 함께 4년간 수행한다.
재판업무에 AI 도입은 지속적으로 추진돼왔다. 사업의 핵심은 대법원이 보유한 방대한 사법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한 업무지원 체계를 구축해 재판의 효율화를 실현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재판의 신속성과 공정성, 사법부의 국제 경쟁력 및 신뢰도를 한층 높인다는 계획이다.
![]() |
[사진=코난테크놀로지] |
이 가운데 코난테크놀로지는 법원 도메인에 최적화된 재판지원 대형언어모델(LLM) 개발을 수행한다. 코난 LLM을 기반으로 판결문 요약, 사건 쟁점 분석, 검토보고서 초안 작성 지원 등 재판지원 도구를 구현하고, 법률용어와 문체를 반영한 자연어처리(NLP)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특히 AI 윤리 및 법적 준수 기반의 모델 개발에 중점을 두고, 법적 편향성 최소화를 위한 지속적인 평가와 모니터링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법원은 이번 사업이 AI 기반의 신속하고 공정한 스마트 법원 실현을 앞당기고, 재판 처리 기간 단축으로 국민 신뢰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영섬 코난테크놀로지 대표이사는 "공공, 국방, 의료 분야에 이어 사법 분야까지 당사의 AI 기술이 확산 돼 뜻 깊다"며 "국내 사법 환경에 최적화된 AI 기술 개발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신속하고 공정한 재판 환경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한편, 코난테크놀로지는 이번 사업 외에도 대법원의 차세대 전자소송시스템 지능형 검색사업과 형사전자소송시스템(KICS) 검색사업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축적된 검색 사업 수행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재는 생성형 AI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달 경기도청 LLM 구축을 비롯해 한국남부발전, 한국중부발전, 국방부, 행정안전부, 국회사무처,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과 한림대의료원, 한화손해보험, 신한라이프, KB증권, 제주항공 등 민간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에 생성형 AI를 도입하며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이끌고 있다.
stpoems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