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박람회'는 중국 안팎 기업들 거대한 AI 로봇기술 격전장
항저우 6용 중 3개 기업 박람회 참가, AI 각각 분야 혁신 기술 과시
언론 만난 젠슨 황 CEO '세계 AI 변혁의 중심에 중국이 있다' 밝혀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뇌 신호를 기계 손과 연결하는 기술을 통해 술잔을 잡는 것은 물론 바느질도 할 수 있어요. 사람의 손가락과 다를 게 없이 정교하고 미세한 움직임으로 인간의 손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손과 팔 장애인들의 삶을 완전히 바꿔가고 있는 거죠."
중국 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 취재차 베이징을 찾은 기자는 7월 16일 오전 개막식이 끝나자마자 자료를 통해 미리 봐두었던 순이구 신국가전람관의 디지털 과기 전시장에 있는 저장성 기업관의 AI 기술 기업 챵나오과기(强脑科技, 브레인 코) 전시 부스를 찾았다.
브레인 코는 세계적인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업으로 머스크가 세운 뉴럴링크에 맞설 수 있는 중국 로봇 혁신 기술 기업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혁신 AI 로봇 신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항저우 6용'의 대표적인 기업중 하나다.
이날 저장성 기업관에는 브레인 코와 함께 위수과기(宇树科技, 유니트리)와 쥔허과기(群核科技) 등 항저우 6용 중 3개 로봇 혁신 기업이 첨단 신 기술을 선보였다. 브레인코의 맞은 편 위수과기 부스에서는 4족 로봇의 권투시합과 격투기 모습을 영상으로 소개해 참관객들의 주목을 끌었다.
![]() |
위수과기의 휴머노이드 로봇은 올해 초 설 특집 방송(春晩)에서 사람과 같은 수준의 춤 동작을 과시,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바 있다. 일론 머스크도 감탄했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위수 과기 로봇은 기계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유연한 동작이 눈길을 끌었다.
7월 16일부터 5일간 열리는 중국국제공급망촉진 박람회는 마치 AI 로봇 박람회를 방불케 하듯 대부분 전시장에서 로봇 응용 혁신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었다.
선진 제조, 청정 에너지, 스마트 자동차, 디지털 과기, 건강 생활, 녹색 농업 등 6개 전시장과 공급망 서비스 전시장이 넓은 지역에 분포해 있었지만 어디를 가나 중심 테마는 AI 로봇 신기술이었다.
스마트 자동차 전시장의 한 기업은 땅과 하늘에서 함께 운행하는 오토바이 드론 로봇 헬기를 출품했다. 중국 동펑자동차도 드론 헬기를 전시해놓고 있었는데 부스 직원에게 자동차 회사에 웬 드론 헬기냐 묻자 "기술 영역엔 경계가 없다"고 말했다. 둥펑 자동차 부스의 무대 정면엔 'AI가 세계를 개변시킨다'는 구호가 적혀있었다. AI 열기는 베이징 순이구 신 국가전람관 넓은 들판을 후끈 달구고 있었다.
올해로 3회째인 중국 국제공급망촉진 박람회엔 업스트림, 미들스트림, 다운스트림에 이르기까지 500대 기업을 비롯한 세계적인 기업들이 참가했다. 중국 국내외에 걸쳐 75개 국및 지역, 모두 650개 기업, 협력업체를 포함하면 1200개 기업이 부스를 마련했으며 한국에선 의료기기와 바이오 분야 등 3개 기업과 기구가 참가했다.
기자는 2023년 1회 때에 이어 두번째 공급망 박람회 현장을 취재했는데 중국 공급망박람회의 중요한 전시 내용들이 시간이 갈수록 AI 로봇 등 첨단 디지털 기술과 스마트 선진 제조 영역으로 빠르게 이동중이라는인상을 받았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미국 엔비디아가 베이징에서 열린 제3회 중국 국제공급망 촉진박람회에 차세대 로봇 기술 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2025.07.18 chk@newspim.com |
화웨이 스마트기술의 AITO(赛力斯) 자동차 부스에서 만난 허베이성 자동차부품회사 책임자는 중국은 최근 첨단 과학기술이 뒷바침하는 시진핑 시대 '신질생산력'을 구현하는 데 총력을 쏟고 있다며 그 성과물로서 지금 AI 로봇 분야에서 혁신 기술기업들이 출현하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7월 16일 공급망 박람회 개막식에서 중국 국무원 허리펑 부총리와 함께 축사겸 기조 연설을 한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10년 이내에 사람 대신 AI 로봇이 대부분 공장을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젠슨 황 CEO는 중국의 앞선 AI 로봇 기술에 대해 높이 평가하면서 앞으로 AI 칩 로봇 분야에서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내비췄다. 젠슨 황 CEO는 기조 연설 후 언론과 함께한 자리에서도 "중국이 세계 AI 변혁의 중심부에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공급망 박람회에서 디지털 과기 기업중에선 가장 큰 부스를 설치해 주목을 받았다. 16일 기자가 부스를 찾았을 때 이 회사는 로봇을 학습시키는 과정과 함께 자사의 기술과 제품, 그리고 엔비디아가 중국 기업들과 어떻게 협력하는지에 대해 알리고 있었다.
![]() |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베이징의 제3회 중국 국제공급망 촉진박람회 현장. 2025.07.18 chk@newspim.com |
젠슨 황 CEO는 오전 개막식 연설에서 혁신 로봇과 공급망, 관건적인 기술에 있어 중국 시장의 중요성을 유난히 강조했다. 그는 미중 양국이 무역전쟁중이라는 사실을 개의치 않는지, 엔비디아가 목표하는 중국 경영에 대해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미중 양국이 무역전쟁 중임에도 올해는 어느때보다 많은 미국 기업이 중국 국제공급망촉진 박람회에 참가했다. 미국 참여 기업은 작년보다 20% 가까이 증가했다고 CCPIT 직원은 귀뜸했다. 퀄컴 테슬라 GE 애플 스타벅스 컨터지 등 무수히 많은 미국 기업들이 공급망 박람회에 참가했다. 이에 반해 한국기업은 의료기구 한두곳외엔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무역 전쟁은 미국과 중국이 하는데 정작 한국이 제일 큰 피해를 보고 있는 격이다. 중국 AI는 미래를 향해 고속 질주를 하고 있는데, 한국 AI는 골든 타임을 놓친 것인가? 한국이 AI에서 중국 따라잡기는 이제 영 글른건가? 박람회장을 나서는데 문뜩 이런 생각이 머리를 스쳐갔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