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고성능 연산용 인프라 업체
비트코인과 AI 2개 테마 동시에
주가 석 달 200% '급등', 이유는
월가 애널리스트 거의 매수론
이 기사는 7월 15일 오후 4시3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일반 대중에게는 낯선 이름이지만 우리나라 미국 주식 투자자 사이에서 급속히 인기를 얻고 있는 호주의 고성능 연산용 인프라 업체가 있다.
바로 IREN(종목코드 동일, 옛 아이리스에너지)으로 불리는 중형주급 업체다.
◆한 달 500억 순매수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14일까지 지난달 15일부터 한 달 동안 우리나라 미국 주식 투자자의 IREN 순매수액은 3500만달러가량으로 한화로는 약 483억달러로 집계됐다.
![]() |
IREN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IREN] |
미국 주식 상위 50위 가운데 20위다. 대형주와 상장지수펀드(ETF) 위주의 관련 목록에서 비교적 덜 알려진 호주 업체가 순위권에 이름을 올린 것은 눈에 띄는 흐름이다.
호주 시드니에 거점을 두고 2018년 설립된 IREN은 2021년 11월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회사다. 본사는 시드니에 있지만 사업 기반은 북미 지역에 집중돼 있다. 종래 아이리스에너지라는 사명을 사용했다가 작년 11월 현재 이름(현재 시가총액 약 39억달러)으로 바꿨다.
◆비트코인과 AI 결합
IREN이 투자자 사이에서 인기를 얻는 것은 이 회사가 '비트코인'과 '인공지능(AI)'이라는 2개의 테마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배경에 두고 있다.
![]() |
IREN 주가 상장 이후 추이 [자료=코이핀] |
IREN의 사업부 구성은 ①비트코인 채굴(95%) ②클라우드상에서의 AI 인프라 임대 서비스(2.4%) ③AI 데이터센터 공간의 물리적 임대(2.3%) 등 3가지다.
아직은 비트코인 채굴에서 얻는 수익이 압도적으로 크지만 앞으로 AI용 인프라 임대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미 다수의 연산용 엔비디아 GPU(화상처리장치)를 보유한 만큼 원활한 주력 사업 전환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
*IREN은 올해 3월31일 비트코인 마이닝(채굴) 용량이 52EH/s에 도달하면 관련 사업의 확장을 중단하고 AI용 인프라 사업 확장으로 전환하겠다고 했는데, 이달 1일 회사는 50EH/s에 도달했다며 조기 전환을 선언했다.
EH/s는 1초당 수행할 수 있는 암호화 연산 횟수로 비트코인 마이닝 능력의 단위다. 회사의 마이닝 능력이 50EH/s로 늘어나면서 회사의 세계 비트코인 채굴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약 5~5.8%로 확대됐다.
◆석 달 사이 3배
IREN의 최근 주가 흐름은 '로켓'을 연상케 한다.
IREN의 현재가는 17.28달러(14일 종가)로 아직 4년 전의 상장가 28달러에는 못 미치지만 최근 석 달 사이 200%나 뛰어 3배가 됐다.
전문가들은 IREN의 주가 상승세가 구체적인 사업 성과와 전략 변화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가가 '허공'에 뜬 기업은 아니라고 평가한다.
당장 월가 애널리스트 투자의견에 형성된 만장일치 매수론에 가까운 컨센서스가 이런 시각을 뒷받침한다.
팁랭크스가 집계한 담당 애널리스트 8명의 투자의견 분포를 보면 7명이 매수, 1명이 중립 의견을 냈다. 매도 의견은 없다. 또 12개월 내 실현을 상정하고 제시된 목표가의 평균값은 현재보다 14% 높은 19.71달러로 집계됐다.
◆우호적인 월가, 왜?
애널리스트들이 IREN에 대해 우호적인 시각을 갖는 배경에는 투자자들의 기대감과 마찬가지로 주력 사업의 원활한 전환 관측이 있다. 비트코인 채굴에서 비롯되는 현금흐름을 AI 인프라 투자로 연결 짓는 전략에 대해 높은 점수를 준다.
당장 애널리스트들의 2025회계연도 실적 컨센서스를 보면 비트코인 채굴 사업에서 비롯되는 현금창출 상황을 가늠할 수 있다.
![]() |
IREN 회계연도별 연간 실적 추정치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자료=코이핀] |
코이핀이 집계한 컨센서스에 따르면 2025회계연도(2024년 7월~2025년 6월) 연간 매출액 추정치는 약 5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70%가량 증가가, 연간 주당순이익은 28센트로 340%가량 증가가 전망된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