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강한 고용 지표와 서비스업 회복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 증권 거래소(NYSE)에서 다우 지수는 전장보다 344.11포인트(0.77%) 오른 44,828.53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51.93포인트(0.83%) 상승한 6,279.3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07.97포인트(1.02%) 오른 26,011.0으로 장을 마감했다.
미 노동 통계국(BLS)은 이날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계절 조정 기준으로 147,000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110,000명)를 상회할 뿐만 아니라, 상향 수정된 5월 수치(144,000명)도 넘어선 것이다.
실업률도 시장의 예상과 달리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4.3%로의 상승을 전망했지만, 실제 수치는 오히려 낮아진 4.1%로 나타났다.
이날 발표된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6월 서비스업 구매 관리자 지수(PMI)는 50.8로 확장 국면에 재진입했고, S&P 글로벌의 서비스업 PMI 역시 52.9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회복세는 위험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
업종별로는 기술과 금융주가 각각 1% 넘게 오르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고, 소재만 소폭 하락했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주 중에선 테슬라만 0.1% 소폭 내렸다.
개별 종목 중 엔비디아(Nvidia)는 1.33% 오르며 시가총액이 3조 8,879억 달러에 도달, 4조 달러를 눈앞에 뒀다.
미국의 6월 고용지표가 시장 예상을 상회하면서 미 국채 금리가 일제히 상승했다. 미국의 경기 둔화 우려가 후퇴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됐다.
7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발표 전 25%에서 4.7%로 급감했고, 9월 인하 확률도 98%에서 75%로 낮아졌다. 2025년 기준금리는 당초 67bp 인하가 예상됐으나, 50bp 수준으로 축소됐다.
연준 금리 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국채의 경우 금리가 9.7bp(1bp=0.01%포인트) 오른 3.888%를 기록하며, 이번 주 상승폭이 14.6bp에 달해 4월 초 이후 최대 주간 상승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10년물 수익률은 5.3bp 상승한 4.346%로 집계됐다. 2년물과 10년물 간 금리차는 49.2bp에서 45.4bp로 축소돼 수익률 곡선이 평탄화됐다.
외환시장도 이번 고용 데이터를 민감하게 반영했다. 이날 주요 6개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화 지수는 0.4% 상승한 97.135를 기록했다. 달러/엔 환율은 0.94% 오른 145.08엔, 유로/달러는 0.41% 하락한 1.1754달러로 거래됐다.
국제유가는 미국과 이란 간 핵 협상 재개 관련 보도와 관세 불확실성 속에 하락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9월물은 배럴당 31센트(0.45%) 하락한 68.80달러에 마감됐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8월물은 45센트(0.67%) 내린 6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정치전문매체 악시오스는 스티븐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가 다음 주 오슬로에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부 장관과 만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전날 이란 최고 외교관이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협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힌 이후에 나온 소식이다.
전날 미국과 베트남 간의 예비 무역 합의 소식이 유가를 끌어올렸지만, 전반적인 관세 불확실성은 여전히 시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금 현물은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된 영향으로 장중 한 때 1% 넘게 밀렸다. 반면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8월물은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날보다 0.4% 상승한 3342.9달러에 마감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 고용 지표 호조에 미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잦아들면서 일제히 올랐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2.55포인트(0.47%) 상승한 543.76으로 장을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144.02포인트(0.61%) 뛴 2만3934.13에,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48.51포인트(0.55%) 전진한 8823.20으로 마감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16.13포인트(0.21%) 오른 7754.55로, 이탈리아 밀라노 증시의 FTSE-MIB 지수는 157.87포인트(0.40%) 상승한 3만9943.15에 장을 마쳤다. 스페인 마드리드 증시의 IBEX 35 지수는 138.30포인트(0.98%) 상승한 1만4182.90으로 마감했다.
영국 국채 가격과 파운드 환율은 전날과 달리 이날 강세를 보였다. 레이철 리브스 재무장관이 의회에서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포착되면서 그의 거취가 위태로운 것 아니냐는 우려가 빠르게 확산했는데, 이날 키어 스타머 총리가 "그는 어디에도 가지 않을 것"이라며 빠르게 수습에 나섰다.
글로벌 무역 협상과 관련해서는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란 낙관론이 일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오는 9일 이전에 미국과 최종적인 무역 협정을 맺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도 "기한 내 협상 목표는 원칙적 차원의 합의"라고 말했다.
인도 증시는 약세로 마감했다. 오후 거래까지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장 마감을 앞두고 반락했다.
센섹스30 지수는 0.20% 내린 8만 3239.47포인트, 니프티50 지수는 0.19% 하락한 2만 5405.30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인도와 미국이 이르면 이번 주 내에 잠정 무역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는 소식통 인용 보도에 힘입어 증시가 상승세를 보였지만 이후 무역 합의에 대한 낙관론이 약화하면서 주요 지수들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인도 협상단이 아직 워싱턴에 머물고 있고 협상이 마무리될 때까지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다며, 양국은 핵심 농산물과 유제품 등 농업에 대한 이견을 좁히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도 금융주가 약세를 보였다. 니프티 금융 지수는 지난 1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차익 실현 주문이 이어지며 이날까지 4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코탁 마힌드라 은행이 2% 이상 하락했다. 올해 들어 19% 이상 상승한 뒤 밸류에이션이 높아졌다며 맥쿼리가 투자의견을 '아웃퍼폼'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한 것이 부담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펀자브 국립은행도 3.3% 내렸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