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김대중 대통령은 자신에게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사람을 직접 불러 1대1로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눴습니다. 민정수석실에서도 보고서를 올릴 때 반대 의견을 따옴표로 표시해 함께 제출했죠. 이런 전통이 이어졌으면 좋았을텐데 이명박, 노무현 대통령까진 이어지다 박근혜 대통령 때부턴 끊겼어요." 김앤장 법률사무소 재직시절 사석에서 봉욱 변호사(현 대통령실 민정수석)와 나눈 대화 중 기억에 남았던 말이다. 그는 김대중 정부 시절 민정수석실에 파견 근무를 했다.
![]() |
[사진=김지나 사회부 법조팀 차장] |
모든 사람이 같은 생각을 가질 순 없다. 중요한 건, 다른 의견을 대하는 태도다. 누군가는 대화를 통해 생각을 나누려 한다면 또 누군가는 생각이 다른 사람과의 대화 자체를 피한다.
지난 29일 윤석열 전 대통령은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특검'의 소환 조사에 처음으로 출석했다. 전직 대통령으로서는 다섯 번째로 검찰 포토라인에 섰다. 검은색 차량을 타고 서초동 서울고검 정문을 통과는 입구까지 약 5분 동안 윤 전 대통령은 두 얼굴을 보였다. 고검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외치는 지지자들에겐 차량 창문을 내리고 손을 흔들었지만, 포토라인 앞에 선 기자들의 질문엔 아무런 대답 없이 지나쳤다.
이에 반해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정반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달 25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 현장.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유족이 행사장 밖에서 고성을 지르자, 이 대통령은 "들어올 때 저에게 고함치는 분이 있던데, 서 계셔도 되니까 들어오라고 하시라. 마이크 줄 테니까 말씀하시라"고 응답했다. 대통령 참석 행사는 경호 문제로 사전에 초청된 인원만 출입이 가능한 것이 관례지만, 이 대통령은 즉석에서 행사장 문을 연 것이다. 이 장면은 뉴스핌TV 유튜브를 통해 공유되며 150만회 이상 조회됐고, 2만9000건이 넘는 '좋아요'와 3600건이 넘는 응원 댓글이 달렸다.
유튜브로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을 수 있는 시대. 알고리즘이 선택한 콘텐츠에 길들여진 채 타인의 시선을 접할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런 시대일수록 다른 생각을 수용하고, 불편한 진실에도 귀 기울일 수 있는 리더십의 가치가 더욱 빛난다.
이재명 정부는 빠르게 내각 인선을 마무리하고 있다. 야당 대표 시절, 수사 대상이었던 그는 이제는 검찰에 칼을 휘두를 수 있는 입장이 됐다. 정권 초 칼끝이 날카롭게 살아 있을 때 이재명 대통령이 빠르게 검찰개혁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있었지만, 이 대통령은 속도보다 안정과 내실을 택한 모습이다. 법무부 장관에 5선 민주당 중진을 앉히고, 민정수석과 법무부 차관 후보자에 검찰 출신을 기용했다. 검찰개혁의 판을 짜는 자리에 검찰 출신을 전진배치 시키며 여야, 검찰, 행정부가 모두 공감할 만 한 방향을 설정하고, 개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과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깊어진 사회의 분열은 이재명 정부가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다. 그 첫걸음은 비판의 목소리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화합을 이끌어내는 데서 시작돼야 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자신을 지지하지 않았던 국민들에게도 어떤 화합의 리더십을 보여줄지 지켜볼 대목이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