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대미 수출량, 중국산이 인도산 앞서...3월부터 인도산이 추월, 4월 격차 확대
'관세' 대응한 결과지만 美·中 불만에 인도산 수출 증가세 둔화할 것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산 아이폰 대미 수출이 지난달 전년 동기 대비 76%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이 미국 시장 판매용 아이폰 대다수를 인도에서 조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서다.
27일(현지 시간) 미국 CNBC 등에 따르면, 옴디아 산하 시장조사기관인 카날리스는 지난달 인도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된 아이폰이 약 300만 대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6% 늘어난 것으로, 같은 기간 중국산 아이폰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76% 감소하며 90만 대에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카날리스는 "4월의 수치는 애플이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애플의 공격적인 조치를 보여준다"며 "애플은 무역 갈등 같은 외부 충격에 대해 오랫동안 대비해 왔다"고 평가했다.
올해 초만 해도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중 인도산 비중은 중국산의 약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1월과 2월 중국산 아이폰의 대미 수출량이 각각 450만 대, 350만 대였고, 인도산 아이폰의 대미 수출량은 각각 240만 대, 170만 대였다.
다만 3월부터 상황이 역전됐다. 인도산 아이폰의 대미 수출량이 440만 대로, 중국산 수출량의 430만 대를 앞질렀고, 4월 그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이다.
카날리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월의 상황에 대해 지난달 2일 예고된 '상호 관세' 발표와 시행을 앞두고 애플이 재고 확보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애플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국의 봉쇄 조치로 현지 아이폰 생산공장 가동에 차질을 빚은 뒤 공급망의 탈 중국화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인도가 중국의 뒤를 이은 생산 거점으로 부상했고, 이후 미중 간 무역 갈등 격화 속 집권 2기를 맞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인도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11일 아이폰을 포함한 전자제품에 대해서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애플의 향후 인도 내 생산 계획에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애플은 이달 초 미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아이폰을 인도에서 제조할 계획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중국과의 무역 합의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아이폰에 대한 관세율(30%)이 여전히 인도산(10%)보다 높은 상황이기도 하다.
다만 인도산 아이폰의 대미 수출 증가세가 앞으로는 둔화할 것이라고 옴디아는 전망했다.
옴디아의 르 쑤안 치우 분석가는 "인도의 생산능력이 미국 수요 전체를 감당할 정도로 빠르게 확대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의 분기별 아이폰 수요는 약 2000만 대인데, 인도가 이 정도의 생산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2026년은 돼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치우의 수치는 아이폰 완성 조립을 기준으로 삼은 것으로, 아이폰 핵심 부품 등에 대한 조립은 여전히 대부분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다.
인도의 아이폰 생산 확대가 미국과 중국 양국 모두의 방해를 받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리서치 업체 퓨처럼 그룹의 다니엘 누먼 최고경영자(CEO) 겸 수석 분석가는 "애플의 인도 생산량 확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목적과 맞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중순 팀 쿡 애플 CEO에 인도 내 생산 확대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은 인도나 다른 나라가 아닌 미국에서 생산돼야 한다"며 수입산 아이폰에 대해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중국도 애플 협력업체들이 아이폰 조립에 필요한 장비의 인도 이전을 쉽게 허가하지 않고 있는 것을 알려져 있으며, 이것이 애플의 생산 다변화를 어렵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
인도에서 생산된 아이폰16 [사진=블룸버그] |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