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별 전공의 복귀자 대부분 '한 자리'
일부 수련병원은 추가 모집 기한 '연장'
수련 기간 단축 허용 안해 불만 쌓여
전문가 "페널티 안 받는 상황부터 특혜"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정부가 사직 전공의에 대한 추가 모집에 나섰지만, 지원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뉴스핌> 취재에 따르면 사직 전공의 추가 모집이 마감됐거나 마감일을 앞둔 가운데, 병원별 전공의 복귀자 수는 대부분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8일 이달 말까지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전공의는 3월과 9월 상·하반기로 나눠 수련 모집을 하는데, 의료계 요청에 따라 추가 복귀 길을 열어준 셈이다.
◆ 병원별 전공의 복귀자 대부분 '한 자리'…일부 병원, 모집 기한 연장
현재 대부분의 의료기관들은 전공의 추가 모집을 마감한 상황이다. 강원대 병원은 지난 27일 전공의 모집을 마감하고 면접을 앞두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세브란스병원 등도 전공의 추가 모집 접수를 마감했다.
모집률이 저조한 일부 병원에서는 마감 기한을 연장하기도 했다.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은 접수 마감 기한을 29일까지로 늘렸다. 서울성모병원은 지난 27일 밤 모집 기한 연장을 결정했다. 28일까지 접수를 받고 이후 면접 과정을 실시할 예정이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각 수련병원이 20일부터 전공의를 추가 모집한다. 사진은 지난 2월 6일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
특히 몇몇 병원은 전공의 복귀자가 전무한 수준이다. 강원대 병원의 경우 복귀 의사를 밝힌 전공의는 1~2명에 불과하다. 파티마 병원은 50명 모집에 지원자가 한 명도 없었고, 경주 동국대병원은 28명 모집에 2명이 지원했다.
의료계는 사직전공의가 복귀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복귀에 따른 특혜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을 개시하면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수련 기간 단축은 허용하지 않았다.
◆ 수련 기간 단축 불허 불만…전문가 "페널티 안 받는 것도 특혜" 쓴소리
사직전공의들은 수련 기간 단축이 허용되지 않으면서 오는 9월 복귀와 큰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새로운 대통령이 정해진 뒤 상황을 보고 행동하겠다는 판단이다.
익명을 요청한 지역의 수련병원 관계자는 "(사직전공의들은) 내년 2월에 전문의 시험을 보면 세부 전공 수련 과정인 펠로우 과정을 거치는데, 5월까지 수련을 받아야 해 특혜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전문의 시험 후 펠로우를 밟는 일정이 어긋나 안 돌아온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만일 복지부가 군 복무를 마친 전공의처럼 내년 2월에 수련을 끝내도록 수련 기간 단축까지 허용했으면 지금과 상황이 달랐을 것"이라며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수련 과정을 원활하게 해주지 않은 것에 대한 불만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5월 복귀와 9월의 복귀는 1년 간의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 이달 중 복귀하면 전문의 시험을 내년 2월에 볼 수 있지만 9월에 복귀하면 내후년 2월에 전문의 시험을 볼 수 있다. 1년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셈이다.
펠로우 절차 과정에도 큰 문제가 없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일반 대학의 경우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올라갈 때 같은 시기에 학사 일정이 시작되고 끝나지만, 펠로우 과정은 국가적으로 정해진 기간이 없어 개인별로 수련이 마치는 시점이 달라도 펠로우 절차를 밟는 과정의 문제는 없다는 것이다.
강희경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전공의들이 알고 있는 사실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다"며 "지금의 전공의들은 페널티를 받지 않는 것만으로도 본인들이 특혜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주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