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로봇·AI·전장·메드텍 등 비반도체 육성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성장축 구축 본격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로봇이 걷고, 인공지능(AI)이 판단하고, 오디오가 말을 걸며, 공조 시스템이 환경을 제어하는 시대. 삼성전자가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에 대비해 신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스마트폰과 반도체 양축에 집중됐던 기존 전략에서 벗어나, 공조, 로봇, 전장·오디오, AI, 메디컬테크 등 비주력 분야를 새로운 성장 축으로 본격 육성하는 모습이다.
이 같은 변화는 최근 삼성전자의 연이은 전략적 인수합병(M&A)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단순 기술 보완이나 점유율 확대 차원을 넘어, 미래 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체계적·선제적 투자로 평가된다.
![]() |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사진=뉴스핌DB] |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전방위 승부수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독일의 유럽 최대 공조기기 업체 플랙트그룹(FläktGroup)을 15억 유로(약 2조20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공조 시장에 전격 진출했다. 플랙트 인수 절차는 연내 마무리 예정이다.
플랙트는 데이터센터, 병원, 공항, 박물관 등 고사양 설비 환경에 최적화된 프리미엄 공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특히 고속 성장 중인 데이터센터 전용 중앙공조 시장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과 제어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인수로 삼성전자는 기존 가정용 시스템에어컨 위주의 공조사업을 한 단계 끌어올리게 됐다. 앞서 삼성은 미국 레녹스(Lennox)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며 북미시장 공략에 나선 바 있으며, 이제는 유럽까지 외연을 넓히게 됐다. 삼성전자는 향후 플랙트의 공조 제어 시스템과 자사 IoT 플랫폼 '스마트싱스(SmartThings)'를 연결해 통합 빌딩관리 솔루션으로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 |
지난 3월 삼성전자 제56기 정기 주주총회장 로봇존에서 시연되는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 [사진=삼성전자] |
로봇 분야도 삼성의 핵심 투자처로 떠올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협동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로 올라섰고, 올해부터는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사람처럼 걷고, 손을 쓰고, 명령을 이해하는' 범용 AI 로봇을 목표로, 보행제어·정밀조작·파운데이션모델(RFM) 등 3대 핵심 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삼성은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로봇의 자연어 이해 능력과 실시간 행동 제어 능력을 결합하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단순 작업 로봇이 아닌, 서비스·제조·물류 등 다양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차세대 지능형 로봇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다.
전장과 오디오 부문에서는 자회사 하만(HARMAN)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M&A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하만은 미국 마시모(Masimo)의 소비자 오디오 사업부를 5000억원에 인수하며, 바워스앤윌킨스(B&W), 데논(Denon), 마란츠(Marantz)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추가 확보했다. 기존 JBL, AKG, 하만카돈에 더해 글로벌 고급 오디오 시장의 주도권을 공고히 다진 것이다.
이들 브랜드의 음향 기술은 삼성의 스마트폰, TV, 무선 이어폰, 노트북 등 주요 제품군에 적용될 예정이다. 예컨대 B&W의 헤드폰 음향 기술이나 마란츠의 앰프 회로 기술이 갤럭시 프리미엄 라인업에 적용되면, 사용자 경험은 한층 고도화될 수 있다. 하만의 기기들을 스마트싱스 플랫폼과 연동해 홈 오디오 중심의 연결 생태계 구축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오디오 기술의 전장(자동차용 전자장비) 분야 확대 가능성도 주목된다. 하만은 이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시장에서 강자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번 인수로 고급 카오디오 브랜드를 다수 확보해 프리미엄 차량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 |
CES 2025에서 하만의 차량용 앱 스토어 '레디 링크 마켓플레이스(Ready Link Marketplace)'를 체험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
◆AI·의료기기도 선제 M&A도 미래 대비
AI 분야에서는 지난해 7월 옥스퍼드 시멘틱 테크놀로지스(Oxford Semantic Technologies) 인수를 통해 지식그래프 기반의 고급 AI 기술을 확보했다. 삼성은 이 기술을 차세대 운영체제, 로봇 지능, 검색 최적화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의료기기 부문에서도 지난해 9월 AI 초음파 분석 스타트업인 프랑스 소니오(Sonio)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자회사 삼성메디슨이 확보한 하드웨어 기술과 소니오의 진단 알고리즘을 결합해, AI 기반의 정밀 의료기기 개발을 본격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삼성전자의 일련의 행보는 '비(非)모바일 기반의 신성장 축'을 마련하기 위한 청사진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반도체 중심의 매출 의존도가 높은 삼성전자로선, 시장 성숙기에 접어든 기존 주력사업의 성장 한계를 넘기 위한 전략적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은 하드웨어·제조 중심의 전통 사업구조에서 탈피해 소프트웨어·서비스 중심의 수익 모델을 만들고 있다"며 "단순한 신사업 진출이 아닌, 핵심 기술 내재화와 제품·플랫폼 간 연계를 염두에 둔 정교한 포석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