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DNA의 조력조로만 여겨진 RNA의 보이지 않는 촉매의 비밀이 신간 'RNA의 역사'에서 풀린다.
20세기 후반, DNA가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로 급부상했지만, RNA는 오랫동안 DNA의 조력자로만 여겨졌다. 그러나 21세기에 RNA가 단순한 유전 정보 전달자가 아니라 능동적인 생명의 조율자, 촉매제, 그리고 변혁의 주체임이 밝혀지면서 생물학, 의학, 생명공학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RNA의 역사'는 1989년 RNA의 촉매 작용(리보자임)을 발견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분자생물학자 토머스 체크가 쓴 RNA에 대한 러브송이다. RNA의 과학적 발견부터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 mRNA 백신, 생명의 샘이라 알려진 텔로미어를 활용한 노화 연구 등 혁신적인 생명공학 기술까지 아우르며, 21세기의 생명과학이 RNA를 중심으로 어떻게 새롭게 쓰이는지 탐구한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RNA의 역사' 책 표지. [사진=세종서적] 2025.05.08 alice09@newspim.com |
RNA의 복잡한 작용 원리를 전축, 스파게티 등 친숙한 사물에 비유하고 RNA 스플라이싱 반응을 워드 프로세서의 '복사 붙여넣기' 기능에 빗대어 설명한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에 비유해 어려운 RNA의 원리를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도록 설명한 책은 이 책이 최초다.
RNA는 DNA처럼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나, 정보 저장은 RNA의 능력 중 극히 일부로 DNA와 달리 살아 있는 세포 내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RNA 분자를 꼬아 잇는다거나, 단백질을 조합하는 등 효소처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줄기세포가 활동성을 유지하게도 하며, 염색체 말단에 DNA를 구축해 노화를 방지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점을 지닌 RNA는 DNA의 그림자를 벗어나 잠재력을 드러냈다. 이 책은 저자를 비롯한 과학자들의 발견의 여정을 뒤쫓으며, RNA의 놀라운 힘을 처음으로 엿보았던 초창기 실험에서부터 RNA가 세포 반응을 촉매할 수 있다는 저자 자신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발견, 그리고 최신 생명공학 기술까지 아우른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RNA를 활용해 생명의 암호를 다시 쓰는 크리스퍼부터 팬데믹 때 수백만 명을 살린 혁신적인 mRNA 백신, RNA를 통한 난치병 치료 등 생명공학의 혁신적 발전을 살펴볼 수 있다.
본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1부에서는 RNA가 생명의 놀라운 촉매제로서 자신을 드러낸 계기, 저자의 연구팀이 촉매제로서의 RNA를 발견한 과정을 설명한다. 2부는 RNA가 자연의 한계를 넘어 생명을 증진하고 연장하는 방식을 이야기한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