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선정 살인기업 1위는 '시도교육청', 2위는 '쿠팡'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노동단체가 꼽은 '2025 최악의 살인기업'에 경기 화성 배터리 업체 아리셀이 선정됐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노동건강연대 등 노동단체로 구성된 산재사망대책마련 공동캠페인단(캠페인단)은 아리셀에서 지난해 6월 리튬배터리 화재 사고로 23명이 사망했고, 대표가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있는 점 등 선정 이유를 밝혔다.
![]() |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가 지난 2024년 7월 27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마치고 행진 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캠페인단은 "아리셀 박순관 대표는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유가족에게 사과하지 않고 있다. 법원은 박순관 대표를 보석으로 풀어주고, 유가족은 아직도 법정과 거리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 "아리셀 사망 노동자 23명 중 18명은 이주노동자"라며 "작년에 사고로 사망한 노동자 589명 가운데 이주노동자는 무려 92명이지만 정부가 이주노동자의 산재 통계에 손을 놓고 있으므로 얼마나 많은 죽음이 가려져 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20년간 진행된 산재 사망사고 기업 발표에서 최다 선정의 불명예를 안은 기업은 4차례 선정된 현대건설이었다. 2위는 3차례 선정된 대우건설이다.
캠페인단은 "노동자가 많이 사망한 상위기업은 한국 10대 건설사 명단과 일치한다"며 "건설기업이 쌓아 올리는 도로와 발전소, 아파트 층수 뒤에는 건설노동자의 죽음이 있다"고 했다.
아울러 '시민이 뽑은 최악의 살인기업' 1위는 시도교육청(40.1%), 2위는 쿠팡(25.6%)이었다.
캠페인단은 "시도교육청은 급식 노동자 13명이 폐암으로 사망했지만, 환기시설을 개선하지 않았다"고 했다.
또 "'개처럼 뛰고 있다'는 말을 남기고 사망한 쿠팡 택배 노동자를 기억해야 한다, 야간노동과 과로, 폭염 속에서 한 해 수백 명의 노동자가 119에 실려 간 기업이 쿠팡"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악의 살인기업을 선정한 지난 20년간 기업은 대국민 사과를 할지언정 유족에게 사과하지 않았고, 하청, 비정규직, 이주노동자가 죽음에 내몰리는 구조를 바꾸지 않았다. 국가는 기업을 비호하고 노동자를 외면했다"고 재차 비판했다.
이어 "일하다가 죽는 것은 당연하지 않다. 노동자의 죽음을 방치해 온 기업과 국가를 바꾸기 위해 더 많이 연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