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파제·등대·테트라포트 등 해안 인공시설물 관광자원화...지역경제 활성화 견인
'경북도 해안 인공시설물 관광자원 활용 지원 조례안' 발의
[경북종합=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연안해역에 조성된 인공시설물을 관관광자원화하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다.
연안해역의 인공시설물의 관광자원화를 통한 어촌 명소화와 지역경제 활성화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김재준 경북도의회 의원(국민의힘, 경북 울진군)[사진=뉴스핌DB] |
김재준 경북도의원(울진군, 국민의힘)은 제355회 임시회에서 도내 해안 인공시설물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해 지역의 새로운 관광 명소를 창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키 위한 '경상북도 해안 인공시설물 관광자원 활용 지원 조례안'를 발의했다.
이번에 발의된 조례안은 전국 최초 사례이다.
김 도의원은 세계관광기구(UNWTO)의 분석자료를 인용해 세계 관광시장에서 해양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은 50%가 넘고, 우리나라도 2022년 기준 전국 여행자의 71%가 연안 지역을 방문하는 등 해양관광에 대한 수요가 다양화되고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또 2023년 연안 지역 해양레저관광 소비액은 40조 9000억 원에 달하는 등 유망한 해양 관광자원 창출을 통한 적극적인 대응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발의된 조례안은 해안 인공시설물의 체계적인 관광자원화를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을 담은 기본계획과 해당 연도 사업의 재원 조달 및 투자계획이 포함된 시행계획을 규정하고 △해안 인공시설물의 정비 및 안전 시설 확충 사업 △해안 인공시설물의 조명·색채 개선 및 야간경관 형성 사업 △해안 인공시설물의 접근성 개선 및 편의시설 확충 사업 ‣해안 인공시설물 주변의 경관 개선 및 미적 가치 향상 사업 등 관광자원화를 위한 지원 사항을 담고 있다.
조례를 대표 발의한 김재준 의원은 " '2025년 2월부터 '해양레저관광진흥법'이 시행됨에 따라 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인 해양관광 정책이 추진 되는 상황에서, 경북도에서도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체계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도내 130개의 어항을 비롯한 방파제, 등대, 테트라포트 등 인공시설물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한 관광자원화는 지역 관광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례안은 지난 16일 경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 심사를 통과했으며 이달 29일 2차 본회의에서 최종 의결될 예정이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