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가 향후 4년에 걸쳐 최대 5000억 달러(약 712조 6000억 원)를 투자해 미국 내 AI 반도체와 슈퍼컴퓨터 제조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14일(현지 시각) 이 같은 투자 계획을 밝히고,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TSMC 공장에서 차세대 AI 반도체 '블랙웰(Blackwell)' 칩의 생산이 시작됐으며, 대만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해 텍사스 휴스턴과 댈러스에 슈퍼컴퓨터 생산 공장을 건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슈퍼컴퓨터 공장은 향후 12~15개월 내에 가동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엔비디아는 AI 칩 패키징, 테스트를 위해 미국 앰코 테크놀로지와 대만 실리콘웨어프리시젼인더스트리(SPIL)와도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 [사진=블룸버그통신]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이 같은 계획을 밝히며 "미국 내 생산은 AI 칩과 슈퍼컴퓨터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고, 공급망을 강화하며, 기업 회복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대만 TSMC를 비롯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추진되며, 제조업 부활을 강조해 온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본국 회귀) 기조와도 궤를 같이한다.
현재 엔비디아의 AI 칩 대부분이 대만에서 생산되고 있지만, 회사는 미국 내 생산 비중을 점차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젠슨 황 CEO는 지난 3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단기적으로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관세를 고려해)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이전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황 CEO가 구체적인 이전 시점을 언급한 건 아니지만, 이달 9일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H20 칩에 대해 중국 수출을 제한하려던 계획을 철회한다는 보도가 나왔고, 미 정부의 이 같은 결정이 엔비디아의 미국 내 투자 약속과 관련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 바 있다.
엔비디아뿐 아니라 미국 주요 IT 기업들도 앞다투어 미국 내 투자 확대에 나서고 있다. 애플은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고, 텍사스에 AI 서버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한편 TSMC는 이와 별도로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2조 4000억 원)를 추가 투자해 반도체 공장 5곳을 신설할 계획이다. TSMC는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으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축으로 평가받는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