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플랫폼 지연 속 홍보만 앞선 임태희 교육감
학생·교직원 데이터 보호 대책도 강화해야
디지털플랫폼 구축 말보다 실행 필요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의회 김선희 의원(국민의힘, 용인7)은 지난 9일 교육기획위원회 회의에서 경기도교육청의 디지털플랫폼 구축 속도와 실행력 부족을 강하게 질타했다고 10일 밝혔다.
![]() |
26일 한인 학생 간담회. [사진=경기도교육청] |
서울시교육청이 이미 학교 단위의 AI 기반 플랫폼을 실증 운영 중인 반면 경기도는 여전히 설계 단계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은 지난 2월 미국 하버드대에서 '학생 맞춤형 AI 교육'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며 경기도의 디지털교육 비전을 국제적으로 소개한 바 있다. 하지만 정작 교육현장은 기술 도입이 아닌 정책 미비와 행정 지연에 갇혀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김 의원은 "경기도는 전국 최대 교육청임에도 불구하고 서울보다 디지털플랫폼 구축 속도가 현저히 느리다"며 "AI·데이터 기반 학습 인프라 구축은 말이 아닌 실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경기도교육청은 2024년 11월, 100여 개 학교를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계획 중이나 플랫폼 설계 기준, 개인정보 보호체계, 현장 피드백 체제 모두 미완성 상태"라고 꼬집어 말했다.
김 의원은 "나이스(NEIS)와의 연동은 물론,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구체적 프로토콜이 없는 상황에서 AI 플랫폼을 도입한다는 것은 매우 무책임한 접근"이라고 비판했다.
한 교육정보화 전문가는 "AI 플랫폼을 만든다는 건 기술보다 윤리와 신뢰를 다루는 일"이라며 "보안 위협이 높은 상태에서 성급한 오픈은 오히려 학부모 불신만 키운다"고 지적했다.
경기도교육청이 외형적 프레임보다는 내부 보안, 교원 연수, 학생 활용성에 집중하는 정책전환이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임 교육감은 미국 하버드대 강연에서 경기도의 AI 교육을 강조하며 "학생 개별 맞춤형 학습의 시대"를 제시했지만 정작 그 플랫폼은 아직 교사들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준비 중' 단계다. 해외 홍보보다 실질적 실행력이 시급하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경기학교비정규직노조 측은 "현재 경기교육 디지털 플랫폼과 AI 교육 진행 상황을 제대로 챙기지도 못하면서 정치 활동만 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자신의 홍보에 열을 올리지 말고 교육 현장과 소통부터 제대로 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김선희 의원 또한 "경기도 교육청이 스스로 선진화된 교육행정을 주장하려면 적어도 서울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며 "단지 '앞선 이미지'를 연출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