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증권, MBK와 네파 인수부터 인연...자금 조달
미래에셋증권, 고려아연 지분 경쟁 적극 지원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MBK파트너스와 고려아연과의 경영권 분쟁 이면에 이들과 증권사들 사이의 특수 관계가 눈길을 끌고 있다. NH투자증권이 2013년 MBK파트너스의 네파 인수 거래부터 오랜 인연을 맺어왔다면, 미래에셋증권은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고려아연을 지원했다.
9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MBK 파트너스가 네파, 홈플러스, 오스템임플란트, 메디트 등 M&A(인수합병)에 나설 때마다 자금 조달에 큰 역할을 했다.
2013년 MBK의 네파 인수 거래 당시 NH투자증권은 M&A 자문을 수행하면서 투자자를 모집할 뿐 아니라 5000억원의 인수금융 투자확약서(LOC)를 발급해주면서 거래 성사를 견인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과정에서 MBK 김병주 회장과 정영채 전 NH투자증권 사장의 인연도 시작됐다는 얘기가 나온다.
![]()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사진=뉴스핌DB] |
또한 MBK는 굵직한 인수마다 NH투자증권를 자금줄 역할로 활용했다. NH투자증권은 MBK의 홈플러스 인수 당시 전체 거래금액(7조2000억원)의 약 60%에 해당하는 4조3000억원 규모 선순위 대출을 제공한 금융기관 중 하나다. 골프존카운티 인수에도 약 3900억원, 오스템임플란트 경영권 인수에는 약 1조원의 대출확약서를 발급하는 등 꾸준히 자금 지원에 나섰다.
MBK는 고려아연과의 경영권 분쟁을 위한 자금 1조5657억원 중 주식 매입자금의 75%인 1조1775억원을 NH투자증권에서 조달하기도 했다.
최근 증권사들이 홈플러스를 상대로 제기한 형사 고소에 전자단기사채(전단채) 사건의 주요 피해 증권사 중 하나인 NH투자증권이 참여하지 않은 것도 눈길을 끈다.
지난 1일 신영증권과 하나증권, 현대차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4개 증권사는 홈플러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을 상대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등 혐의로 고소장을 제출했다. 하지만 하나증권 다음으로 홈플러스 전단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증권사인 NH투자증권은 이번 소송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MBK가 NH투자증권과 오랜 기간 끈끈한 관계를 이어왔다면, 고려아연은 미래에셋증권 등과 최근 특별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이 영풍·MBK와 지분 경쟁 때 적극적으로 지원했던 증권사 중 하나다.
![]() |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사진=뉴스핌 DB] |
앞서 미래에셋증권과 KB증권은 고려아연의 자사주 공개매수 사무취급자이자 유상증자 모집주선회사 역할을 맡았다. 유증 과정에서는 미래에셋증권이 모집주선인을, KB증권이 공동모집주선 역할을 맡았다. 하나증권은 고려아연 쪽에서 영풍정밀 공개매수를 담당했다.
고려아연은 최윤범 회장과 MBK파트너스·영풍 간 경영권 분쟁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지난 2010년 12월 이후 15년 만에 공모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 조달에 나섰다. 특히 이번 회사채 발행 주관사로 미래에셋·KB·하나증권을 선택한 것도 눈길을 끌었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