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산업, 태양광 산업, 2차 전지 산업에 이어 조선업에 대한 제재를 부과할 움직임을 보이자 중국 정부가 강한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21일(미국 현지 시간) 중국의 해양, 물류, 조선 산업 장악력을 고려해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에 대해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USTR의 추진안은 중국 선사의 선박이 미국 항구에 입항할 때마다 선박당 최대 100만 달러, 선박 용적 톤당 최대 1000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타국 선사의 경우, 미국 항구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 최대 150만 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한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이 같은 내용에 대해 23일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발표해 미국에 대한 강도 높은 비난 목소리를 냈다.
상무부는 "2024년 3월 이후 미중 양국은 해당 문제에 대해 여러 차례 소통을 진행한 바 있다"며 "중국 측은 이에 대한 견해를 반복적으로 표명했으며, 미국 측이 이성과 객관을 찾기를 요구했고, 미국 내 산업 문제를 중국 측에 전가하는 것을 중단하기를 촉구해 왔다"고 발표했다. 이어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미국 측은 여전히 고집스럽게 잘못된 길을 더욱 멀리 가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상무부는 또한 "미국이 추진하는 항구 요금 징수 등 조치는 타국뿐만 아니라 자국에도 손해를 끼칠 것이며 자국의 조선업을 활성화시키지도 못할 것"이라며 "오히려 미국 노선 해운 노선의 운송비를 높이고,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고, 미국 상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낮추고, 미국 항구 및 부두 운영자와 노동자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에 대해 미국 내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크다"고 강조했다.
상무부는 "미국 측에 잘못된 행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중국은 필요한 수단을 통해 자국의 합법적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상무부는 지난 22일에도 미국의 조치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발표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대중국 투자와 중국의 대미 투자를 제한하겠다는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을 발표한 데 따른 대응 메시지였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방식은 국가 안보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차별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전형적인 비시장적 처사"라며 "양국 기업 간의 정상적 경제 협력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비판했다.
![]() |
중국의 조선소가 크루즈선을 건조하고 있다. [신화사=뉴스핌 특약]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