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2027년까지 AI 기반 CCTV 구축...지자체 안전 강화
재난 안전 데이터 통합으로 기관 간 협업 강화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행정안전부는 12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폐쇄회로(CC)TV 관제 시스템 도입 및 재난안전 데이터 민간 공유와 활용성을 높이겠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전에는 CCTV 관제 업무가 요원의 눈으로 확인하는 방식에 의존해 사고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재난 안전 관리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 |
김용균 행안부 안전예방정책실장이 1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재난안전관리 미래 준비를 위한 주요 정책을 출입기자 대상으로 정책설명회를 하고 있다=김보영 기자kboyu@newspim.com |
이에 행안부는 지난달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을 개정하고, 2027년까지 AI 기반 지자체 CCTV 관제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AI 학습 데이터 확보를 위해 관제 영상, 관제 요원의 관제 일지, 경찰·소방의 신고 영상을 수집하고 개인정보 비식별화 조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렇게 생성된 AI 학습 데이터는 민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구축한다.
아울러 침수 탐지 AI 모델과 같은 재난 유형 분석 알고리즘과 실시간 CCTV 영상을 통한 위험도 예측 알고리즘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분산된 기관의 재난 안전 데이터를 통합해 제공하는 재난 안전 데이터 공유 플랫폼 기능도 보강할 방침이다.
![]() |
사진=행안부 제공 kboyu@newspim.com |
예를 들어, 도시 폭염 관리를 위한 온도 저감 시설 설치와 예산 투입 우선순위 선정에 도움을 주는 표준 분석 모델이 개발되어 지자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된다.
이와 함께 굴착공사로 인한 지하 시설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굴착기 실시간 위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지하차도 침수 정보는 내비게이션 업체에서 활용할 수 있게 전국 시·군·구 IoT 센싱 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어린이가 주변 재난 안전을 신고할 수 있는 '어린이 안전 신문고'도 도입해 만 13세 미만의 초등학생이 안전 신문고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할 경우 어린이용 쉬운 문구가 적용된 화면으로 자동 전환된다.
김용균 안전 예방 정책 실장은 "대형·다양화되고 있는 재난으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과학적 재난 안전 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