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 정부, 감세로 중산층 소비 확대 목표...중앙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전문가 "소비 진작보다는 정부 자본지출 확대 효과가 더 커"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한 소비 진작에 팔을 걷어붙였지만 소비 만으로는 성장 동력을 살리기 힘들 것이라고 미국 경제뉴스 전문 방송인 CNBC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 정부는 이달 1일 발표한 2025/26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예산안을 통해 소비 진작 의지를 드러냈다. 개인 소득세 감면 기준을 기존의 70만 루피(약 1158만원)에서 120만 루피로 상향 조정함으로써 중산층의 소비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부 장관은 "납세자들이 감세로 절약한 돈이 소비, 저축 또는 투자를 통해 경제로 다시 유입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모간스탠리의 유파사나 차츠라 수석 경제학자는 "소비는 인도 경제의 주요 요소 중 하나"라며 "(소득세 감면이) 최종 수요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17조원 규모의 대규모 감세안이 공개된 지 일주일 만인 7일에는 인도중앙은행(RBI)이 기준금리를 종전의 6.5%에서 6.25%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RBI가 기준금리를 낮춘 것은 2020년 5월 이후 5년 만으로, 자금조달 비용이 낮아진 만큼 민간 소비 및 투자가 늘어나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국내총생산(GDP)의 약 60%를 차지하는 소비는 인도 경제의 중요한 성장 동력 중 하나다. 그러나 도시 주민(2023년 기준 약 5억 2300만 명)의 지출 감소로 모든 부문의 소비가 감소하면서 인도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켰다는 분석이 커졌다. 과거 인프라 개발에 집중했던 인도 정부가 소비 진작에 초점을 맞추게 된 배경이다.
다만 2024/25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성장률이 6.4%로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소비 진작 외의 추가적 조치, 특히 인프라 개발 같은 정부 지출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차츠라는 "자본지출(CAPEX)을 늘리는 것이 소비 진작보다 더 큰 폭의 GDP 성장을 가져온다"며 "자본지출이 늘어나 일자리가 창출되면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이는 소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CNBC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2025/26회계연도 자본지출에 11조 2100억 루피의 예산을 배정했다. 이는 직전 회계연도 대비 0.9% 증가한 것이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