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기타

속보

더보기

[오늘 A주] 정치국 회의에도 하락...부동산주는 대거 상승

기사입력 : 2024년07월30일 16:52

최종수정 : 2024년07월30일 16:56

상하이종합지수 2879.30(-12.55, -0.43%)
선전성분지수 8468.58(-46.07, -0.54%)
촹예반지수 1630.95(-4.72, -0.29%)
커촹반50지수 710.01(+2.41, +0.34%)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30일 중국 증시는 전날에 이어 다시금 하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0.43% 하락한 2879.30, 선전성분지수는 0.54% 하락한 8468.58, 촹예반지수는 0.29% 하락한 1630.95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이날 중국공산당은 정치국 회의를 개최해 하반기 경제 업무 전반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결과를 공보로 발표했다. 정치국 회의는 회의 공보를 통해 더욱 강한 부양책을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새로운 부양책이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시장에 호재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다만 정부의 강도 높은 부양 기조가 확인된 만큼 향후 장기적으로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국 회의는 공보를 통해 "더욱 강력한 거시정책을 지속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며 "통화정책에서 역주기 조정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특별채권 발행 및 사용에 박차를 가하고, 대규모 노후 설비 갱신과 내구 소비재의 교체 정책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진(中金)공사는 이날 보고서에서 "상하이·선전 300지수의 배당률은 3.15%로 지난주 10년 만기 국채 금리인 2.2%에 비해 0.95%포인트(p) 높다"며 "중국 증시는 가격 메리트가 존재하는 만큼 중기적으로 기회 요인이 위험 요인보다 훨씬 많다"고 평가했다.

이날 특징주로는 부동산 시장 관련주가 대거 상승했다. 야퉁구펀(亞通股份), 쿵강구펀(空港股份), 스베이가오신(市北高新), 워아이워자(我爱我家)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날 정치국 회의에서 "부동산 시장이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새로운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언급된 점이 관련주에 호재로 작용했다. 특히 새로운 정책이 발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발생하며 상한가 종목들이 속출했다.

항공우주 관련주도 상승했다. 텅다커지(騰達科技), 한톈천광(航天晨光), 번촨즈넝(本川智能)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상하이 시정부가 주도하는 G60 프로젝트가 다음 달 5일 첫 위성 발사를 시작한다는 소식에 이날 관련주가 상승했다. G60 프로젝트는 저고도 위성망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648개의 위성을 쏘아올린다는 계획이다. 최종적으로 2030년까지 1만 5000개의 위성을 발사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산하 외환 거래 센터는 이날 달러당 위안화 기준 환율을 7.1364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전 거래일(7.1316) 대비 0.0048위안 오른 것으로, 위안화 가치로는 0.07% 하락한 것이다.

상하이종합지수 30일 추이 [사진=텐센트증권]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