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 폴드6·Z 플립6, 알뜰폰 이용 시 각각 월 14만원대·10만원대부터
이통사 공시지원금·선택약정 대비 가격 경쟁력 우위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삼성전자의 신형 폴더블폰 갤럭시 Z 폴드6와 Z 플립6가 사전판매 91만대를 넘어서면서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다.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일주일 동안 사전 판매된 갤럭시 Z 폴드6와 Z 플립6의 판매량은 91만대로 역대 최고치인 전작의 102만대에는 다소 못 미친다. 하지만 글로벌 경기 침체와 부품 가격 상승 등의 여건 속에서 사전판매가 선전했다고 삼성전자는 판단하고 있다.
![]() |
사전판매량 91만대에는 이동통신사를 통한 판매와 자급제 판매가 모두 포함됐다. 이통사를 통한 구매와 자급제 단말기 구매 비율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이통사들이 사전 판매 시 각종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점을 감안할 때 이통사를 통한 구매 비율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통 갤럭시 스마트폰의 사전 판매에서 자급제 구매의 비율은 10~20%대 수준이다.
이통사들은 이번 갤럭시 Z 폴드6와 Z 플립6에 공시지원금을 요금제에 따라 최대 20만원 후반으로 책정했다.
우선 갤럭시 Z 폴드6의 출고가는 222만9700원(256GB), 238만8100원(512GB), 270만4900원(1TB)이다. Z 플립6의 출고가는 148만5000원(256GB), 164만3400원(512GB)이다. 여기에 이통사별 공시지원금이 책정된다. 이통사 간 번호이동 시 책정되는 전환지원금은 Z 폴드6와 Z 플립6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SK텔레콤의 경우 월 3만9000원의 컴팩트 요금제(데이터 6GB)의 경우 8만원의 공시지원금을 지급하며 월 12만5000원의 5GX 플래티넘의 경우 24만5000원의 공시지원금을 지급한다. 이는 이통 3사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KT와 LG유플러스도 요금제가 비쌀수록 공시지원금도 늘어난다. KT는 월 13만 원의 '초이스 프리미엄' 요금제를 쓸 경우 24만원의 공시지원금을 지급한다. LG유플러스도 월 13만원의 5G 시그니처 요금제를 사용할 시 23만원의 공시지원금을 지급한다. 이통사 3사는 최대 지급할 수 있는 공시지원금의 15%를 추가로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이통사가 지원할 수 있는 공시지원금은 26만4500원에서 28만1750원이다.
이통사의 공시지원금을 최대로 적용하면 갤럭시 Z 폴드6는 194만7950원부터, Z 플립6는 120만3250원부터 구매할 수 있다. 24개월 약정인 경우 단말기값이 Z 폴드6가 매달 8만1164원, Z 플립6는 5만135원이다. 여기에 월 13만원의 요금제를 더하면 Z 폴드6가 매달 21만1164원, Z 플립6는 18만135원을 부담해야 한다.
공시지원금이 아닌 선택 약정으로 구매할 경우 단말기 가격은 그대로지만 요금제의 25%가 할인된다. 24개월 동안 13만원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월 납부금은 Z 폴드6가 19만404원, Z 플립6가 15만9375원이다. 공시지원금을 받을 때보다 두 기종 모두 2만원 이상 저렴하다.
자급제로 구매 후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월 부담금이 가장 적다. 쿠팡 등 온라인 판매 채널에서는 갤럭시 Z 폴드6와 Z 플립6를 5% 할인된 각각 225만9000원과 139만9000원에 판매하고 있다. 24개월 할부 시 월 할부금은 9만4125원, 5만8291원이다.
알뜰폰 업체에서 제공하는 무제한 5G 요금제는 최고가가 10만원을 넘지 않는다. KT엠모바일의 '5G 모두 다 맘껏 200GB+지니뮤직 Free' 요금제는 5만400원, 헬로모바일의 '180GB+/무제한' 요금제는 7만4000원이다. 월 할부금과 더하면 Z 폴드6는 14만~16만원대, Z 플립6는 10만~12만원대에 사용할 수 있다. 이통사* 선택 약정을 적용했을 때와 비교해도 최대 5만원 이상 저렴하다.
![]() |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삼성전자가 지난 10일 폴더블 인공지능(AI) 스마트폰 신작 갤럭시 Z 폴드6·플립6과 갤럭시 링을 전 세계 공개한 가운데 11일 오전 서울 롯데 에비뉴엘 잠실점에서 방문객들이 각기 기종을 체험을 하고 있다. 국내 사전 판매는 12일 부터 진행된다. 2024.07.11 leemario@newspim.com |
origin@newspim.com